산업 IT

국가의 과학연구 투자

정부는 모든 사람이 투자를 기피하는 과학분야에도 투자해야 한다.

지난 4월 미국 오바마 대통령은 인간의 뇌를 매핑해 뇌신경의 상호작용 방식을 밝히기 위해 1억 달러를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결정은 많은 이들의 환호를 받았다. 그러나 이 프로젝트는 돈 낭비에 불과하다. 뇌 매핑은 이미 공공과 민간영역에서 충분한 자금지원이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IBM은 5,300억개의 뉴런을 모방한 컴퓨터를 갖고 있고, 쥐의 뇌를 세포단위까지 모델링하는 ‘블루 브레인 프로젝트(Blue Brain Project)’도 진행 중이다. 앨런 뇌과학 연구소 또한 뇌 유전자가 어떻게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는지를 매핑하고 있다. 이런 프로젝트들의 몇몇은 오랫동안 정부의 자금지원을 받아왔다. 즉 이번 발표는 어찌 보면 이미 정부가 하고 있던 일을 새삼 생색내는 것과 같다.


게다가 뇌 연구는 벌써 상업성을 갖춰가고 있기도 하다. 헤드셋을 착용한 채 생각을 집중해 공을 움직이는 ‘마인드플렉스 듀엘’ 등 장난감 가게에만 가도 뇌-기계인터페이스(BMI)를 살 수 있다.

국민의 혈세를 쓰는 정부라면 금전적 이익을 챙길 기회가 널려 있어 기업들이 알아서 투자하는 분야보다는 누구도 투자하지 않으려는 분야, 기업들은 감당하기 힘든 연구를 지원해야 한다. 암 치료법 같은 것 말이다.


지금껏 의학계는 의약품이든 수술이든 환자가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하는 방식으로 암을 치료해왔다. 완벽한 암 완치법이 개발되면 연간 820억 달러 규모의 항암 산업이 붕괴된다. 기업이 굳이 천문학적 돈을 투자해 연구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관련기사



향후 정부가 암 연구비를 증액한다면 사람들은 암이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병하는 것임을 깨닫고 치료보다는 예방을 우선시하는 생활문화가 조성될 수도 있다. 이는 심장병, 당뇨병, 비만도 마찬가지다.

정부는 또 더 많은 저소득층 자녀들이 학업을 마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데에도 돈을 투자할 필요가 있다. 교육수준이 높아질수록 범죄율은 낮아지기 때문이다. 미국에서 발표된 한 연구에 따르면 1990년 고교 졸업생의 비율이 1%만 상승했어도 그해 10만건의 범죄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결과를 얻기도 했다.

반면 민간기업은 범죄 예방에 별로 신경 쓰지 않는다. 이를 통해 경제적 이익을 얻으려면 한 세대, 즉 30년 정도의 시간이 필요한 탓이다. 그나마 그 이익마저 투자자에게 전부 돌아가는 것이 아닌 국민들이 나눠 갖는다.

기업은 자선사업가가 아니다. 정부는 이 점을 명확히 직시해야 할 것이다.

암 완치법이 개발되면 연간 820억 달러 규모의 항암 산업이 붕괴된다. 기업은 이런 분야에 연구비를 쓰지 않는다.

파퓰러사이언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