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은퇴자 위한 합리적 상품과 문화 서비스 제공

부자로 은퇴하기<br>하나은행

하나은행은 은퇴자들의 인식전환과 비재무적 니즈를 파악해 은퇴자들이 실생활에서 필요로 하는 행복서비스 상품을 제공하고 있다.
유부혁 기자 yoo@hmgp.co.kr


하나은행은 기초노령연금 수령 고객을 대상으로 고금리 및 수수료 우대서비스를 제공하는 ‘행복연금 통장’을 최근 출시했다. 입출금이 자유로운 저축예금으로 연금만 이체해도 연 1.7%의 기본 금리를 제공하는 상품이다. 또 하나은행 적립식상품에 월 10만 원 이상 자동 이체하거나 하나SK카드로 월 30만 원 이상 결제하면 추가로 연 0.3%의 우대금리도 함께 제공한다. 합리적 소비생활에 도움이 되도록 관리비와 카드결제, 적금이체 등 주요 자동이체 내역을 매월 통장에 요약해서 정리해주고, 전자금융수수료 무제한 면제에 타행 자동화기기거래 수수료도 월 10회까지 면제해준다.

4대 공적연금(국민, 공무원, 군인, 사학)과 하나은행에서 가입한 퇴직연금, 개인연금저축 연금 수령 고객 및 역모기지론 대출금을 수령하는 고객들에게도 동일한 혜택을 제공한다.

하나은행 역시 은퇴자를 위한 서비스를 계속해서 확대해 나가고 있다. ‘하나은행 행복 디자인센터’는 실버영화관과 제휴를 통해 다양한 문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2008년 서울 종로에 위치한 구 허리우드 극장에 개관한 실버 영화관은 연간 관람객이 20만 명에 달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실버 전용극장이다. 55세 이상인 경우 2,000원에 저렴하게 영화를 관람할 수 있다. 또 하나은행이 마련한 공연, 영화제 등 다양한 실버 문화도 즐길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나은행은 실버 영화관과 제휴를 맺고 극장회원전용 체크카드를 만들어 주고 있다. 행복문화체크카드 회원들에게는 실버 영화관 영화 및 공연 스케줄 등을 문자 서비스로 제공하고 매주 목요일 무료 영화 시사회를 회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은퇴기에는 생애 주기상 가장 높은 행복감을 느낄 수 있는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노화 또는 노인에 대한 퇴화적인 인식과 에이징에 대한 개념적 이해 부족이 은퇴에 대한 거부감을 느끼게 한다. 그래서 하나은행 행복디자인은 정기적으로 웰에이징, 건강, 취미, 여가, 인간관계 등 비재무적 주제로 행복디자인 소규모 세미나를 개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에이징에 대한 긍정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인식 전환을 주도하고 노후 취미, 여가 활동, 건강관리, 은퇴자의 재능기부 등 다양한 비재무적 프로그램을 통해 고객들이 인생의 행복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한다.

뿐만 아니라 40대 이상 고객들 대상으로 행복 디자인 에세이·사진 공모전을 실시한다. 공모전에 당선된 고객에게는 1인 동반 여행 상품권을 제공한다. 이 기회를 통해 고객들이 생각하는 아름답고 건강한 노후의 삶이 어떤 것인지 파악함으로써 좀 더 고객들이 원하는 비재무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강구하고 있다.



관련기사



FORTUNE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