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기자의 눈] 골프사업과 로비

-최창호 기자 사회문화부최근 한국골프장사업협회가 전국 단위의 회원권중개사업을 추진하고, 중개수수료수입으로 업계현안을 타개하기 위한 대정부로비를 벌이겠다고 해 논란이 일고 있다. 문제의 발단은 한달삼(韓達三) 한국골프장사업협회(이하 場協)회장이 최근 대한골프협회, 한국프로골프협회, 한국여자골프협회 등 골프관련 9개단체로 구성된 「한국골프관련단체협의회」에서 느닷없이 『골프장사업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해서는 정부에 로비를 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자금마련을 위해서 회원권거래사업을 추진하겠다』고 하면서 비롯됐다. 이같은 場協의 발상에 대해 전국 200여 회원권전문거래업체들은 『지금 때가 어느 땐데 로비자금을 운운하고, 골퍼들을 위해 한 게 아무것도 없는 협회가 이제와서 돈이 된다싶으니 회원권중개를 들먹거리는지 알 수 없다』며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그러나 韓회장의 「소신(?)」은 확고부동하다. 韓회장은 『회원권거래질서가 매우 문란하다는 투서가 접수돼 場協차원에서 유통질서를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며 『전국단위 회원권거래소를 직영하고 회원권은 이 거래소에서만 매매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사단법인으로 사업자들의 친목단체인 場協이 어떻게 사업허가권을 가질 수 있는지 의아스럽다』며 『그것은 정부의 권한을 뛰어넘는 월권(越權)이 아니냐』고 되물었다. 지난 5, 6공화국시절 정부는 당시 인기가 높았던 골프장건설허가를 내주면서 거액의 정치자금을 챙긴 적이 있다. 그러나 지금은 시대상황이 많이 바뀌었다. 대통령 스스로가 부패와의 전쟁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왜 로비자금이 필요하다는 얘기인지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다. 문화관광부도 로비로 규제를 죄거나 풀지는 않는다고 한다. 로비의 진위여부를 떠나 場協이 「회원권거개중개업무」를 추진하겠다는 의도도 쉽게 이해하기 어려운 대목이다. 골프장을 운영하는 사업주들의 이익을 옹호하는데만 매달렸던 협회다. 그런 협회가 이제와서 시장질서유지를 명목으로 회원권거래중개사업을 벌이겠다는 것은 부실경영으로 적자상태인 협회의 이익만을 위한 것은 아닌지 의문스럽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