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北, 로켓 발사 강행…“수분 후 서해 추락”(종합)

北 발사 성공 여부 공식 발표 없어…유엔 안보리 긴급 소집


북한이 13일 ‘광명성 3호’ 위성을 탑재한 ‘은하 3호’ 로켓 발사를 강행했으나 실패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북한은 이날 오전 7시39분께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기지에서 은하 3호 로켓을 발사했다고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이 밝혔다. 김 대변인은 “북한이 오늘 오전 발사한 미사일(로켓)은 발사한 지 수분 후에 여러 조각으로 분리되면서 추락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며 “한미 정보 당국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실패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군 고위 관계자도 “로켓 잔해물이 군산 서쪽 190~200㎞ 해상에 떨어진 것 같다”면서 “1단과 2단이 분리되지 않은채 그곳까지 비행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고 말했다.

군과 정보당국은 로켓이 정상적으로 발사됐을 경우 3분후 백령도 상공을 지나, 10여분만에 500㎞ 극저궤도에 광명성 3호 위성을 진입시킬 것이라고 관측한 바 있다.


일본의 후지무라 오사무(藤村修) 관방장관도 북 로켓 관련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로켓을 발사했으나 1분 이상 날다가 바다에 떨어졌다”고 밝혔다. NHK 방송은 일본 방위성 관계자를 인용해 “북한 로켓이 약 120㎞까지 상승한 뒤 4개로 나누어져 서해 부근에 낙하했다”고 전했다. 미국 ABC와 CNN 방송도 익명의 미 관리들의 말을 인용, 북한이 국제사회의 강력한 비난에도 불구하고 발사를 강행한 미사일이 바다로 추락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관련기사



북한 측은 발사 성공 여부와 관련해 발사 후 1시간여가 지난 오전 9시 현재까지 어떤 언급도 하지 않고 있다. 북한은 김정은 체제 출범이후 첫 공식 업적으로 이번 로켓 발사를 내세우며 자신감 속에 외신 기자들을 평양으로 불러 들였었다.

북한이 비핵화를 골자로하는 2ㆍ29 베이징 북미 합의에도 불구하고 김정은 체제의 조기 안정을 위해 로켓 발사 강행이라는 무리수를 뒀지만, 실패로 끝나게 되면서 한반도를 둘러싼 불안정성은 더욱 증폭될 전망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소식과 관련, 오전 9시 청와대에서 긴급 외교안보장관회의를 소집해 북한의 로켓 발사 강행에 따른 후속 대책을 논의중이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도 이날 긴급회의를 소집할 것이라고 유엔 외교관이 밝혔다. 한국과 미국, 서방국들은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어떤 로켓 발사도 금지하고 있는 안보리 대북 결의 1874호에 따라 이번 북한의 로켓 발사는 명백한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고 비난해 왔다.

/온라인뉴스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