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인천지역 경제 인구·면적등 외형 커졌지만 더딘 성장

인천상의 지방자치 20년 인천경제 변화 발표


지난 20년 동안 인천시의 인구와 면적 등 도시의 외형과 인프라는 크게 확대된 반면 경제 부문 성장은 더딘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사실은 인천상공회의소가 지방자치 20년을 맞아 30일 발표한 ‘지방자치 20년, 인천지역경제 변화’보고서에서 나타났다. 인천 경제변화를 분석해 내놓은 이 보고서에 따르면 인천은 직할시에서 1991년 광역시로 명칭이 변경됐고 당시 경기도 강화군와 옹진군, 경기도 김포군 검단면 등이 인천시로 편입된 후 2010년 말 현재 면적이 1,027.01㎢로 지난 1991년에 비해 무려 223.8%가 늘어났다. 인구도 20년 동안 51.7%가 늘어 지난해 현재 276만명으로 전국 3대 도시로 자리 매김 했다. 반면 이 같은 외형 성장에 비해 경제부문 성과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 총생산액은 지난 2009년 49조7,016억원으로 지난 1991년보다 407.9%가 늘어나 같은 시기 전국 성장률(436.7%)보다 28.8%P 가량 낮은 증가율에 그쳤다. 사업체수는 2009년 15만9,597개로 1991년에 비해 82%가 늘어났지만 종사자수는 같은 기간 79만202명으로 41.1%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로 인해 업체당 평균 종사자수는 1991년 6.4명에서 2009년 5명으로 1.4명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업체수 증가가 고용 창출로 이어지지 않았으며, 영세한 기업이 오히려 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산업구조는 제조업이 같은 기간 44.5%에서 28.2%로 줄어 들어 든 반면 사회간접자본과 서비스업은 54.4%에서 71.1%로 늘어났다. 수출액 역시 크게 늘었지만, 우리나라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감소했다. 2010년 인천지역 수출액은 210억 달러로 1991년과 비교해 볼 때 428%가 증가했다. 하지만 전국의 총 수출실적에서 인천이 차지하는 비중은 종전 6.1%에서 4.5%로 오히려 1.6%P 줄어들었다. 이처럼 경제부문의 증가세가 주춤한 것은 30년간 진행되고 있는 수도권 규제정책과 대기업의 지방이전, 도심개발에 따른 공장 이전, 1997년 IMF 경제위기, 2008년 세계 금융위기 등으로 지역경제가 위축된 데 따른 것으로 인천상의는 분석하고 있다. 그렇지만 인천의 경쟁력은 여전하다는 평가다. 윤희택 인천상공회의소 경제정책팀장은 “항만, 공항 등 인천 지역의 인프라는 매우 잘 갖춰져 있다”면서 “이를 잘 이용하면 인천의 경제 미래는 매우 밝아 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