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는 자살 예방의 교과서 같은 국가다. 지난 1965~1990년 25년간 핀란드의 자살사망률은 세 배나 증가했고 1990년에는 인구 10만명당 50명이 자살로 사망했다. 국가적 위기의식까지 느낀 핀란드 정부는 국가 차원의 자살 예방 프로젝트를 가동했다.
정신질환 탐지ㆍ치료대책, 약물남용대책, 학생 자살 예방교육, 자살 시도자 관리, 실업대책, 미디어와 대중교육 등 12개 분야의 전방위 자살 예방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핀란드의 자살률은 2005년에는 10만명당 18명, 2008년에는 16.7명으로 대폭 떨어졌다.
핀란드는 자살 예방을 위해 1986~1992년 6년 동안 5만명의 자살 예방 전문가들이 사망자의 의무기록, 사회 서비스 이용기록, 경찰 수사기록을 수집하고 사망자 가족 및 지인을 면담했다. 이를 바탕으로 자살 원인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자살 예방대책을 세워 시행해 성공을 이뤄냈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보건소나 일반 병원에서 외래환자의 우울증ㆍ자살 충동 여부를 주기적으로 점검해 잠재적 우울증 환자를 관리하는 선제적 대응 방식이다. 핀란드의 자살 예방 프로그램은 영국ㆍ미국ㆍ아일랜드ㆍ호주ㆍ스칸디나비아 등 10여개국이 참조하고 특히 세계보건기구(WHO)와 유엔도 핀란드 사례를 근거로 자살 예방 지침을 작성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실태자료 수집, 자살 위험요인 조사, 위기개입, 자살 예방 서비스 강화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지역사회 리더와 자살 유가족들이 함께 자살예방재단(AFSPㆍAmerican Foundation for Suicide Prevention)을 설립해 자살 유가족과 자살 위기에 처한 사람들을 지원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미국은 이라크전쟁과 아프가니스탄전쟁으로 정신적 스트레스를 겪는 군인을 관리하기 위해 '포괄적 군인 건강(CSFㆍComprehensive Soldier Fitness)' 프로그램을 가동하기 시작했다. CSF 프로그램은 미 육군 110만명을 대상으로 1억2,500만달러를 투입해 우울증ㆍ스트레스에 따른 자살을 미연에 방지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호주 정부는 1992년 국가건강 및 의학연구위원회를 통해 포괄적 자살 예방대책의 기초를 마련한 후 2000년 지방거주자, 노인, 약물중독자, 지방 지역사회, 정신질환자, 토착민 등 고위험집단을 포함한 포괄적인 국가 자살 예방정책사업을 시행했다. 지역사회 안전망에 기반을 둔 이 사업은 자살 시도자들의 반응이 획일적이지 않다는 점을 고려해 대처하고 있다. 그 결과 10만명당 자살사망률도 1990년대 말 14명 수준에서 절반인 7명 수준으로 대폭 줄었다.
영국은 자살자 수가 비교적 적은데도 불구하고 국가적 차원에서 자살 예방사업을 모범적으로 시행하는 나라다. 사회서비스기관, 정부부서, 자발적 민간기관이 긴밀한 협력을 통해 자살예방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자살 고위험집단인 자해 경험자, 죄수, 고위험 노동자 등을 지역 정신보건서비스기관들이 모니터링하고 있다. 영국은 1차 의료기관에서 정부의 지침에 따라 우울 의심환자를 선별해 인구 10만명당 5명의 매우 낮은 자살사망률을 유지하고 있다. 이외에도 성별, 연령별, 정신질환 여부별, 자살 수단별, 사회계층별 자살률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