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원화 강세로 수출물가 6년5개월 만에 최저

수입물가도 4년3개월 만에 최저…원화 강세에 동반하락

원화강세로 지난 달 수출 물가가 6년 5개월 만의 최저 수준을 기록해 수출기업의 채산성 악화가 우려된다. 수입물가도 동반 하락했다.

한국은행은 지난 5월 수출물가 지수(2010년 100 기준)가 86.80으로, 전월보다 1.6% 하락했다고 12일 밝혔다.


수출업체가 같은 상품을 팔더라도 손에 쥐는 돈이 한국 원화로 환산하면 4월보다 평균 1.6% 감소했다는 의미다. 그만큼 채산성이 나빠지는 것이다.

지난달 수출물가 지수는 2007년 12월(86.45)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수출물가의 하락은 원·달러 환율이 4월 평균 1달러당 1,044.55원에서 5월 1,024.99원으로 1.9% 떨어진 데 따른 것이다.


미국 달러화 등 계약 통화(수출입 때 결제수단으로 사용하는 통화)를 기준으로 한 수출물가는 오히려 전월보다 0.2% 올랐다.

관련기사



품목별로는 냉동 어류(-4.2%), 은괴(-3.4%), 경유(-2.5%) 등의 내림폭이 컸으며 냉동참치(8.0%)는 상승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원화 기준 수출물가는 8.1% 하락했고 계약 통화 기준으로도 0.7% 낮은 수준이다.

5월 수입물가 지수(95.49)도 전월보다 1.7%나 하락, 2010년 2월(95.44) 이후 4년 3개월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유가(두바이유 기준)는 0.9% 상승했지만, 원화 강세의 영향이 워낙 컸기 때문이다. 계약통화 기준으로는 전월보다 0.1% 올랐다.

수입 물가가 내리면 시차를 두고 국내 물가의 하락 요인으로 작용한다.

천연고무(-5.8%), 옥수수(-4.0%) 등 원재료는 평균 1.6% 떨어졌고 부탄가스(-4.2%), 플래시메모리(-5.6%) 등 중간재는 1.8% 하락했다. 소비재는 1.3% 내렸으며 품목별로는 치즈(-3.8%), 밀(-2.3%), 가구(-2.1%) 등의 하락폭이 큰 편이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