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멀고 먼 '저가 이통사'

단말기 부족·해외로밍 불가능<br>7월 정상적인 서비스 불투명

'저가이동통신사' '제4이동통신사'로 불리는 이동통신재판매(MVNO) 예비 사업자들이 오는 7월부터 본격적인 사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MVNO는 최소 20%, 최대 반값에 가까운 요금으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 최근 조명을 받고 있다. 하지만 정부나 국민들이 기대하는 것처럼 싼 값에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지 아직 불투명하다. 단말기 수급, 해외 로밍, 기존 이동통신사 자회사들의 MVNO시장 진출 등의 걸림돌이 있기 때문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에서 망을 빌려 7월부터 사업을 개시하기로 한 KCT는 갤럭시A와 모토로이를 지원받기로 했다. MVNO 사업자들은 이에 대해 "'재고폰'만으로는 경쟁력을 갖추기 힘들다"고 항변한다. 그렇다고 제조사와 직접 협상을 하자니 여의치 않다. 제조사가 이동통신사의 눈치를 보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블랙리스트 제도'라는 대안이 나오고 있다. 블랙리스트는 휴대폰 유통구조를 이동통신사 중심에서 제조ㆍ유통업체 중심으로 개선하는 제도다. 또 현재 MVNO 사업자들의 해외 로밍 서비스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이동통신 로밍은 이를테면 국내 사업자 A와 해외 사업자 B가 협의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A의 망을 빌려 통신사업을 하는 MVNO는 A가 앞장서 B와 협상하지 않으면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힘들다. 하지만 SK텔레콤이나 KT가 자사 로밍 서비스의 경쟁력 유지를 근거로 해외 사업자와의 협상지원을 제공하지 않고 있다. 한 관계자는 "누가 로밍도 되지 않는 스마트폰을 쓰려고 하겠냐"며 한숨을 쉬었다. 기존 이동통신사 자회사의 MVNO시장 진출도 큰 난관에 부딪쳐 있다. SK텔레콤 자회사인 SK텔링크는 7월부터 MVNO 사업을 개시할 예정이다. MVNO 사업자들로서는 SK텔레콤이 자회사를 '편애'할 수 있다며 우려가 크다. MVNO사업자협회는 MVNO시장이 어느 정도 안정된 후에 SK텔링크가 시장에 진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편 MVNO사들이 출시할 요금제를 결정지을 '통신망 도매대가'도 정부의 지원사격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통신망 도매대가는 MVNO 사업자들이 기존 이동통신사로부터 통신망을 빌릴 때 지불하는 대가로 정부에서는 MVNO들이 최대 44%의 할인율 적용을 받아 망을 이용할 수 있도록 책정했다. 하지만 MVNO 업체들은 이 정도 할인율로는 기존 통신요금 대비 10%가량 저렴한 요금제밖에 내놓을 수 없다며 추가 할인을 요구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