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북한, 미국과 관계 개선 열망"

방북 마친 슈밋 구글회장 베이징 도착… 김정은 못 만나


왜 갑자기… 북한 움직임 심상찮다
"북한, 미국과 관계 개선 열망"방북 마친 슈밋 구글회장 베이징 도착… 김정은 못 만나

김현수기자 hskim@sed.co.kr



















에릭 슈밋 구글 회장과 빌 리처드슨 전 뉴멕시코 주지사가 3박4일간의 방북 일정을 마치고 10일 베이징에 도착했다.

리처드슨 전 지사는 베이징 서우두(首都)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열망하고 있으며 박근혜 한국 대통령 당선인이 대선 과정에서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1위원장과 만날 용의가 있다고 밝힌 발언에 고무됐다"며 "대치가 아닌 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슈밋 방북단은 이번 방북에서 김 위원장을 만나지 않았으며 현재 북한에 간첩 협의로 억류된 한국계 미국인 케네스 배(한국명 배준호)도 만날 수 없었다고 밝혔다. 방북단은 그러나 북한 당국에 배씨 억류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으며 배씨의 건강을 (간접적으로) 확인했고 사법처리가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방북 성과에 대한 질문에 슈밋 회장은 "이번 방북은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터넷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개인적 방문이었다"며 "북한의 (IT) 기술은 매우 제한적이었다"고 평가했다.


슈밋 회장은 이어 "내 생각에 그들(북한)이 (인터넷 보급 확대를) 시작하든지 아니면 계속 뒤떨어진 상태로 남아 있을지 선택해야 할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앞서 리처드슨 전 지사는 평양에서 한 AP통신과의 인터뷰를 통해 "북한에 미사일 발사와 추가 핵실험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으며 더 많은 개방이 북한에 이익이 될 것이라는 점을 전달했다"고 말했다.

슈밋 방북단은 4일간의 방북에서 김일성종합대ㆍ평양인민대학습당ㆍ조선컴퓨터센터 등을 방문했다. 슈밋 회장은 북한의 태플릿PC에 관해 질문했고 3D 안경을 착용하는 등 북한 정보기술(IT)을 직접 경험하기도 했다.

한편 이번 슈밋 회장 등의 방북은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한 지 한 달도 채 안 돼 이뤄져 미국 내에서도 '이기적인 관광(egocentric tourism)'에 불과하다는 혹평을 받기도 했다. 현재 한국,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등은 지난해 12월12일 발사된 북한의 미사일에 대해 유엔 차원의 제재 확대를 추진해 조만간 결론을 내릴 예정이다.















김현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