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KT도 기본료 1,000원 인하…LGU+는?

KT가 11일 휴대전화 기본료 1,000원 인하, 무료 문자 50건 제공, 선택형 요금제 출시 등 요금 인하방안을 발표했다. 이는 사실상 SK텔레콤이 내놓은 요금 인하방안에 동참하겠다고 선언한 것이다. KT는 지금까지 미래 투자를 고려해 기본료 인하 문제에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여왔지만 SK텔레콤이 9월 중 기본료 1,000원 인하와 문자 50건 무료 제공을 시행하면 가입자 유출 현상이 일어날 것을 우려해 결단을 내린 것으로 분석된다. KT 관계자는 “SK텔레콤과의 경쟁 상황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다”며 “최소한 SK텔레콤과 비슷한 수준의 요금인하 방안을 내놓아야 가입자를 납득시킬 수 있다고 판단해 어려운 결정을 내렸다”고 말했다. KT는 10월 중 전 가입자를 대상으로 매월 기본료 1,000원을 인하하고, 11월부터 모든 가입자에게 월 50건의 무료 문자를 제공한다. 또 10월 중 음성ㆍ데이터ㆍ문자 이용량을 골라서 조합할 수 있는 선택형 스마트폰 요금제를 출시하기로 했다. SK텔레콤이 선불요금을 내린 것과 달리 KT는 와이파이존에서 무료 음성통화를 즐길 수 있는 FMC(Fixed Mobile Convergence) 무제한급 요금제를 12월께 내놓기로 하면서 차별화를 꾀했다. KT는 이 같은 방안을 시행하면 연간 4,840억원의 요금 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바꿔 말하면 KT에 연간 4,840억원의 매출 감소가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KT는 현재로서 매출 감소를 보완할 뾰족한 대책이 없는 상태다. 가입자 유출을 방지하는 것이 우선이고, 차후에 가입자를 추가 유치하거나 매출을 증대하기 위한 신규 서비스 및 단말기 출시 문제를 고민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KT 관계자는 전했다. 이런 상황은 SK텔레콤도 마찬가지다. SK텔레콤은 이번 요금 인하 효과가 약 7,685억으로 일시적인 매출 감소 영향이 예상된다면서 “과도한 마케팅비 지출을 자제하고 다양한 신규 수익모델을 창출해 서비스 가치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이동통신 3사 중 3위 사업자인 LG유플러스(U+)는 기본료 1,000원 인하 방안을 두고 SK텔레콤, KT보다 더 어려운 고민에 빠져 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SK텔레콤에 이어 KT도 요금 인하방안을 발표했으니 우리도 이달 안에 요금 인하방안을 내놓을 것 같다”며 “그러나 기본료 1,000원 인하는 워낙 민감한 사안이라 지금으로서는 결정한 바가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월 기본료를 1,000원씩 내리면 무선사업은 적자로 돌아설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온라인뉴스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