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민자발전/“대구 민전을 잡아라”/전력산업

◎12개 기업 “불꽃 경쟁”/14일부터 사업신청서 접수/총 사업비 6천억 “대규모 역사”/해외발전 수주발판 “더 큰 매력”/LNG도입 사업참여 복안도/“「적과의 동침」도 불사”/곳곳서 합종연횡 양상까지국내 굴지의 대기업들이 대구로 몰려들고 있다. 올 연말 사업자가 확정되는 대구민자발전소를 따내기 위해서다. 정부가 민자발전소 2기를 한 사업자에게 발주하기로 하고 올해말까지 사업자를 선정키로 하자 기업들이 막판 불꽃 경쟁에 돌입했다. 사업신청서 접수는 오는 14일께로 예정돼 있다. 삼성중공업과 현대에너지·LG에너지·SK(주)·쌍용건설·한진건설·한화에너지·대림산업·동부건설·동아건설·금호건설·효성중공업·한국중공업 등 내로라하는 업체들이 대구민자발전 사업에 군침을 흘리고 있다. 대구민자발전 프로젝트는 4만5천평규모에 오는 2003년과 2004년까지 45만㎾급 LNG(액화천연가스) 복합화력발전소 2기를 민자로 건설, 해당사업자가 이를 소유 운영하는 사업. 총사업비 6천억원 이상이 투자되는 대규모 역사다. 대구지역의 만성적인 저전압을 해결하기 위해 추진되는 이번 사업은 안정된 수익은 물론 발전사업권 확보에 따른 추가공사 수주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이들 기업을 유혹하고 있다. 기업들은 『대구민자발전사업이 단 2기로 제한됐기 때문에 이 사업만을 놓고보면 경제성이 없다』며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으나 정부와 한국전력이 이 결과를 후속 민자발전사업에도 반영할 것이란 판단에 따라 이를 챙기기 위해서라도 뛰어들어야 할 판이다. 기업들이 민자발전사업 진출에 열을 올리는데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민자발전사업 자체가 당장 「황금알을 낳는 거위」는 아니지만 그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어서이다. 우선 해외발전소 수주의 발판이 된다는게 가장 큰 매력이다. 국내에서 실적을 쌓아 중국과 동남아 등 수익성 높은 해외발전소 수주를 노린다는 복안이다. 사실, 국내 민간업체들은 그동안 발전소를 건설하거나 운영해본 경험이 없어 해외에서 발주되는 대형 발전소 사업 입찰자격 심사에서 번번히 탈락했던 쓰라린 경험을 가지고 있다. 기업들은 이와함께 LNG 도입사업에 뛰어들겠다는 계산도 하고 있다. 정부는 앞으로 민자발전사업자에는 가스도입을 허용해줄 계획인데, 이를 노린 것이다. 현재 LNG도입사업은 한국가스공사가 독점하고 있는 상황. 게다가 가스공사가 언젠가 민영화될 경우 LNG복합화력발전소를 갖고 있는 기업이 유리한 고지를 차지한다는 것은 누구나 예상할 수 있는 결론이다. 한편 대구민자발전을 따내기 위해 대다수 업체들이 일찌감치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사업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지난해 1차사업을 통해 민자발전을 따냈던 현대와 LG는 느긋한 자세로 사업 따내기에 나서고 있다. 합종연횡의 양상도 나타나고 있다. 민자발전 사업만 보장된다면 「적과의 동침」도 주저하지 않겠다는 태세인 셈. SK(주)가 쌍용과 합작을 선언, 함께 참여키로 한데 이어 동부건설은 국내 대표적인 발전설비업체인 한국중공업과 손을 잡았다. 동아건설은 대구지역 연고업체인 (주)우방과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지난해 1차사업을 통해 아산지역 민자발전사업자로 등록한 LG에너지는 고령군 일대 제망공단에 이미 확보한 부지를 이용해 사업을 추진중이다. 일각에서는 『부지면적이 적정면적에 미치지 못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으나 LG가 지난해 1위를 차지했던 화려한 경력에 비춰볼 때, 역시 막강한 후보라는데는 다른 업체들도 이견이 없다. LG와 더불어 지난해에 율촌 LNG화력발전 사업을 따낸 현대에너지는 고령군 삼대리 일대에 부지를 확보, 이번 대구사업을 통해 「국내 최대의 민자발전사업자」로 부상하겠다는 포부를 보이고 있다. 특히 현대에너지는 현대중공업과 현대건설 등 그룹사를 통해 발전설비와 각종 건설부대설비를 손쉽게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을 내세워 대구 프로젝트를 공략하겠다는 야심이다. 1차사업에서 3위를 기록, 아깝게 사업을 놓쳤던 SK(주)는 이번에야말로 절대로 놓치지 않겠다는 각오로 달려들고 있다. 이 회사는 쌍용과 7대3의 비율로 컨소시엄을 이뤄 달성군 구지공단 쌍용자동차 부지를 확보했다. SK는 그룹의 주력사업이 에너지인만큼 발전사업에 새로 진출, 시너지 효과를 도모한다는 그룹차원의 전략으로 이번 사업에 접근하고 있다. 동부건설도 유력 후보로 떠오르고 있다. 동부는 한국중공업과 51대49의 지분으로 짝을 이뤘는데 올해초 고령군 선남면 용신리 일대에 5만평 가량의 땅을 구해놓은 상태. 약 20여명 가량의 팀을 이뤄 대구 민전사업 준비에 투입돼 있다. 특히 동부는 한국중공업의 풍부한 설비경험을 집중적으로 부각시켜 승리를 이끌어내겠다는 계산을 하고 있다. 동아건설은 (주)우방과 함께 고령 지역에 5만평을 확보, 현재 가계약 상태다. 동아는 지난해 한국중공업과 컨소시엄을 이뤄 사업권을 따냈으나 건설예정부지인 김포매립지가 정부의 규제에서 풀리지 않는 바람에 사업권을 스스로 반납, 사업 일보직전에서 물러나기도 했다. 한진건설은 그룹사인 한진중공업 등과 함께 사업을 공동추진키로 하고 고령군 궐성리 지역에 부지를 마련해놓고 있다. 지난해 1차사업 때 예가산정에 실패했던 이 회사는 이번에는 정보력과 분석력을 집중시켜 민전사업에 뛰어들겠다며 칼을 갈고 있다. 한편 삼성중공업은 성서공단에 부지가 있지만 그룹차원에서 전반적인 사업 재조정이 이뤄지지 않고 있어 참여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대림산업은 LNG발전사업단을 구성해 사업참여 의사를 밝히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부지를 확보하지 못해 다른 기업과의 제휴를 추진중이나 아직까지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물론 기업들의 민자발전 사업 참여가 생각처럼 「누워서 떡먹기」만은 아니다. 일단 리스크가 만만치 않다. 건설비가 1기당 3천억원 이상인데다 공사기간도 3∼4년 가량씩 걸리는 대형 프로젝트다. 당장 돈벌이가 되는 짭짤한 사업도 아닌데 이 정도의 자금과 시간을 투자한다는게 쉬운 일이 아님에는 틀림없다. 또 민자발전 사업자로 선정된다 하더라도 입지선정에서부터 건설, 운영에 이르기까지 경험이 생소한 만큼 초기비용을 무시할 수 없다는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한상복 기자> ◎“좋은땅 가진 기업 유리한 고지 선점”/대구 민자발전 이번 대구민자발전사업에서는 좋은 땅을 가진 기업이 사업자로 선정될 가능성이 높다. 통상산업부와 한국전력이 이번 2차 사업자 선정에서 기업들의 확보부지에 대한 배점을 상향조정하고 부지 등 비가격요소에 대한 배점비율을 종전 4%에서 15%로 높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찰평가서에서는 비가격부문 5백점(총점 1천점) 가운데 1백90점이 부지관려 점수로 배정, 부지가 사업권을 결정짓는 주요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게다가 참여업체들은 자신들이 확보한 부지에 발전소 건설이 가능한 지 여부를 건설교통부를 비롯한 중앙부처는 물론 지방자치단체 등 관계기관과 협의한 뒤 사업신청서를 내야 한다. 물론 기업들의 부지확보 경쟁에 따른 부동산가격 폭등을 막기 위해 다수업체가 공동으로 부지를 마련해 사업신청을 할 수 있도록 권장, 일부 기업간 컨소시엄 구성도 활발한 상황. 가격부문에 대해서도 엄정한 심사가 진행된다. 이번 대구민전사업부터는 한전이 예정가격을 결정하던 1차사업 때와는 달리 평가위원회에서 복수의 예비가격을 작성한뒤 추첨을 통해 최종예비가격을 결정, 가격부문 평가의 투명성을 확보키로 했다. 시비의 가능성을 미리 차단하겠다는 사전포석이다. 통산부와 한전은 지난해 1차사업때 동한기업(동아그룹·한국중공업 컨소시엄)을 1위 사업자로 선정했으나 이들 회사의 발전소 예정부지(김포매립지)가 농업지구로 묶여 논란에 휘말리기도 했다. 게다가 부지(당시 40점)를 포함한 비가격부문(4백점)에 대한 불만을 품은 일부 기업이 『발전소 건설에 가장 중요한게 땅인데 땅을 가진 기업과 못가진 기업의 점수차가 40점이라면 땅은 확보하나마나다』며 불만을 제기, 말썽을 빚었다. 실제로 몇몇 기업은 「바다를 메워 땅을 확보하겠다」는 등 봉이 김선달 식으로 사업을 무리하게 추진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한상복 기자>

관련기사



한상복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