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고건 총리,금융기관장 오찬간담<요지>

◎“중기 흑자도산 사태 없어야”/금융계 “부실징후 기업 정상화 촉진 등 최선”고건 총리는 4일 낮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금융기관장을 초청, 오찬간담회를 갖고 『사업성이 인정돼 담보가 부족하더라도 소신껏 신용대출을 해준 경우 사후에 대출금 회수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사법적 제재를 받아서는 안될 것』이라면서 『기업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사업성 평가를 토대로 자금을 지원, 멀쩡한 기업이 흑자 도산하는 사태는 없어야 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강경식 경제부 총리, 이경식 한국은행 총재 이수휴 은행감독원장 박청부 증권감독원장 이정보 보험감독원장 등 금융감독기관장, 장철훈 조흥은행장 정영규 한국증권업협회장 이강환 생명보험협회장 김유상 투자신탁협회장 등 금융기관장이 참석했다. 다음은 총리와 참석자간의 대화록 요지. ▲고총리=모두가 금융경색에 따른 자금조달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었으며 최근 일부 금융기관이 회사채 발행 지급보증을 기피하거나 보증수수료를 두배까지 올린다는 얘기도 들었다. 오늘 이 자리를 마련한 것은 이같은 기업인들의 입장을 대변해 당부사항을 말씀드리려고한 것이다. ▲이동호 은행연합회장=우리 경제의 선진화와 금융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기업과 금융계가 둘이 아니고 발전의 동반자라는 공동체 인식을 바탕으로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총리 말씀에 공감을 표시한다. 부실징후 기업의 정상화 촉진과 부실채권의 효율적 정리를 위한 금융기관협약에 대한 운용의 묘를 기하는 등 총리의 당부 말씀대로 국가경제의 심장과 혈관에 해당하는 금융이 동맥경화증에 걸리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 ▲박찬문 전북은행장=지역경제는 자금수요가 큰 대기업이 별로 없어 큰 동요가 없다. 다만 건설업체의 부도증가로 지방은행의 신용부담 위험이 증가되고 있는게 사실이다. ▲김승경 중소기업은행장=거래 중소기업체 부도가 작년 상반기에 비해 많은 것은 사실이다. 또한 부도업체들이 최근 영세기업에서 규모가 큰 기업으로 바뀌고 장기간 거래업체도 부도가 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우리 경제의 어려움을 반영한 것이다. 따라서 부도기업 축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한계기업의 경우 불가피하다고 본다. ▲정지태 상업은행장=요즈음 부도사태는 구조적 취약성에 불황기가 겹친데 원인이 있으며 차입에 의한 기업확장 등을 한 대기업이 반성의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금융기관과 기업이 잘못한 점이 정부에 전가된 셈이어서 정부와 국민에 미안하게 생각한다. ▲이근영 신용보증기금이사장=중소기업에 대한 보증이 금년 5월말까지 3조5천7백억원으로 전년 동기 2조4천억원에 비해 47.6%가 증가, 중소기업의 보증수요가 증가되고 있음을 반영하고 있다. ▲고총리=앞으로도 애로사항이나 건의사항이 있으면 언제든지 전화로라도 부총리나 총리에게 알려주기 바란다.<양정녹>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