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원자력硏, 中과 핵융합 공동연구 착수

자기 밀폐·레이저 관성 핵융합 2개 분야 협력 연구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자기 밀폐 핵융합과 레이저 관성 핵융합 등 핵융합의 두가지 방식에 관해 중국과 공동 연구에 착수한다고 22일 밝혔다. ‘자기 밀폐 핵융합’은 섭씨 1억도 이상의 고온에서 플라즈마로 변한 중수소와 삼중수소를 토카막 자기장을 이용해서 밀폐시켜 핵융합 반응을 지속시키는 핵융합 방식이다. 이 연구는 원자력연구원 핵융합공학기술개발센터 장두희 박사와 중국 허페이과학원 플라즈마물리연구소 허췬동 박사가 공동 연구를 진행한다. 한국과 중국은 자기 밀폐 핵융합 연구장치로 각각 KSTAR와 EAST를 운영 중이다. 원자력연구원은 기존 1.6㎿ 빔출력을 총 6㎿로 높이는 연구를 수행하고 중국은 총 4㎿, 1,000초 연속 운전에 도전한다. 양 기관은 정기 인력 교류 및 장비 공동 사용을 통해 실험 정보와 기술을 공유할 계획이다. ‘레이저 관성 핵융합’은 중수소와 삼중수소로 이루어진 연료 펠릿에 레이저를 집중시켜 압축된 연료에 열핵반응이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 연구는 한국원자력연구원 양자광학연구부 이용주 박사가 중국상해과학원 광학정밀기계연구소 주지안창 박사와 공동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한국은 짧은 시간에 강한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 소규모 레이저 장치를 보유하고 있고, 중국은 큰 에너지를 오랜 시간 발생시킬 수 있는 대규모 장치를 보유하고 있다. 양국 연구진은 각각 보유하고 있는 레이저 장치 기술을 융합해서 고밀도 플라즈마를 제어하는 기술 등에 대해 협력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