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해수부 장관에 정무형 의원 발탁 가능성

靑 6·4선거 감안 인선 서둘러

서병수·유기준 등 친박계 물망

청와대가 지난주 전격 경질된 윤진숙 전 해양수산부 장관의 후임 인선에 들어갔다. 박근혜 대통령은 그동안 공기업 수장과 청와대 참모 인선을 놓고 너무 시간을 지체한다는 지적을 받았지만 신임 해수부 장관의 경우 현안이 산적해 있고 6·4 지방선거도 눈앞에 두고 있는 만큼 서둘러 후임자를 선임할 것이라는 관측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신임 해수부 장관 인선이 늦어질 경우 국회 청문회 검증 과정에서 야당으로부터 공격의 빌미를 제공할 수 있는데다 6·4 지방선거에서도 박근혜 정부의 인선이 논란거리로 부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청와대와 새누리당 안팎의 분위기를 종합하면 연구원 출신보다는 정무형 국회의원이나 소신 있는 관료가 발탁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원 출신인 윤 전 장관이 잇단 말실수와 정무감각 부재로 야당은 물론 여당 의원들에게도 신뢰를 주지 못했던 만큼 후임 인선에서는 정무감각과 행정능력, 조직 장악력 등을 두루 갖춘 인물이 고려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여권 일각에서는 박 대통령의 의지로 5년 만에 부활한 해수부에 힘을 실어주고 정책 추진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강직한 장관이 와야 한다는 기류가 흐르고 있다.

해수부 최고 역점사업인 부산항 일대의 해양경제특별구역 지정을 골자로 한 해양경제특별구역법이 부처 간 이해관계 상충으로 표류하고 있고 윤 전 장관 낙마로 해수부 직원들의 사기도 떨어진 점을 감안하면 힘 있는 장관을 임명해 이 같은 난관을 정면돌파해야 한다는 것이다.

장관 후보자로는 4선 중진으로 부산에 지역구를 둔 친박근혜계 서병수 새누리당 의원과 해양 전문 변호사 출신인 3선의 유기준 새누리당 의원이 거론된다.

인천 출신으로 '바다와 경제 국회포럼' 공동대표인 재선의 박상은 새누리당 의원, 역시 재선으로 농어촌공사 사장을 지낸 홍문표 새누리당 의원 등도 하마평에 올라 있다. 정치인 출신은 선거와 공직자 재산공개 등을 거치면서 어느 정도 도덕성이 검증된 측면이 있어 청문회 대처가 용이하다는 것이 장점으로 꼽힌다.

박 대통령이 전문성을 강조하고 있는 만큼 내부인사 발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해양수산 분야 관료나 전문가 출신 중에는 손재학 현 해수부 2차관을 조직 안정 차원에서 승진발탁할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