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졸 신입사원이 입사 이후 임원으로 승진하기까지 평균 21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신입사원의 임원 승진 비율도 0.8%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30일 전국 254개 기업을 대상으로 ‘2011년 승진ㆍ승급관리 실태’를 조사한 결과, 대졸 신입사원이 부장으로 승진하기까지 평균 17.3년, 임원까지는 21.2년이 걸리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기업 내부 인사규정상의 승진연한보다 각각 2.2년, 2.6년이 더 소요되는 수치다. 그러나 신입사원이 임원까지 승진하는데 걸리는 기간은 지난 2005년 조사(22.4년)에 비해 1.2년 감소했다. 이는 기업들의 조기 발탁 승진과 집행임원 제도 등이 확대됐기 때문이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강화될 것으로 경총은 분석했다. 기업규모별로 신입사원이 임원이 되기까지 대기업은 23.6년, 중소기업 20.8년이 걸려 대기업이 중소기업보다 약 3년 더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의 직급별 승진율이 계속 유지된다는 가정 아래 신입사원이 임원까지 승진할 수 있는 비율은 0.8%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2005년의 1.2%에 비해 0.4%포인트 감소한 것이다. 대기업의 경우 신입사원이 임원까지 승진하는 비율은 0.6%에 그쳤으나 중소기업에서는 대기업의 10배 이상인 6.8%에 달했다. 각 직급의 승진대상자 중 승진에 성공하는 근로자의 비중을 나타내는 승진율은 2005년 44.5%에서 2011년 38.8%로 5.7%포인트 하락했다. 직급별로는 과장에서 차장으로의 승진율이 23.6%에 그쳐 과장에서 차장으로 승진하기가 가장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차장에서 부장으로의 승진율은 37.8%, 부장에서 임원 승진율은 31.4%였다. 경총 관계자는 “근로자의 연령구조는 역피라미드형으로 변화하고 있는데 전통적인 정기승급제는 피라미드형 연령구조를 상정하고 있어 승진 정체가 심화될 수밖에 없다”며 “따라서 정기승급제를 대체할 수 있는 성과주의 임금체계 도입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