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이 다섯분 호암상 영광의 얼굴

식물 노화원인 규명 남홍길 교수

프리마돈나 홍혜경씨 등 수상

남홍길

홍혜경

이상엽

김승국

김하종

식물의 노화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 새로운 생명과학 패러다임을 열어가고 있는 남홍길 대구경북과학기술원 교수와 세계 정상급 프리마돈나로 활약 중인 성악가 홍혜경 등 5명이 올해 호암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호암재단(이사장 이현재)은 2일 남 교수와 홍씨를 비롯해 이상엽 한국과학기술원(KAIST) 특훈교수, 김승국 미 스탠퍼드대 교수, 김하종 신부를 '제24회 호암상' 수상자로 확정, 발표했다.


과학상을 수상한 남 교수는 식물의 생장에 관한 연구에 시스템 생물학이라는 통섭적 연구방법을 선도적으로 도입해 식물의 성장과 노화를 조절하는 다양한 유전자를 발견하고 복잡한 수명조절 메커니즘을 앞장서 구명해온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공학상 수상자인 이 특훈교수는 대사공학적으로 개량된 대장균을 이용해 포도당에서 가솔린을 생산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주목을 받았다. 지난 2012년 미국화학회와 미국산업미생물생명공학회가 수여하는 마빈존슨상·찰스톰상을 잇따라 수상할 정도로 학문적 업적을 평가 받고 있다.

관련기사



의학상을 받는 김 교수는 당뇨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췌장의 생성·발달 메커니즘을 밝히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예술상 수상자인 홍씨는 1984년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 데뷔한 이래 30여년간 메트 오페라의 주역으로 활동해온 세계 정상급 프리마돈나다.

이탈리아 출신으로 본명이 보르도 빈첸시오인 김하종 신부는 난독증 장애를 극복하고 사제가 된 후 1990년 한국에 입국해 지금까지 노숙인·독거노인·청소년들을 위해 헌신적인 봉사활동을 펼친 점을 인정받았다.

시상식은 오는 5월30일 호암아트홀에서 열리며 수상자들은 메달(순금 50돈)과 3억원의 상금을 각각 받는다.

한편 호암재단은 시상식에 앞서 5월28~29일 양일간 호암상과 노벨상 수상자 등 국제 석학과 국내 전문가들을 초청해 포럼을 개최한다. 2010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영국 맨체스터대 교수와 2009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인 캐럴 그레이더 미 존스홉킨스대 교수를 비롯해 김필립 미 컬럼비아대 교수, 이세진 미 존스홉킨스대 교수, 황윤성 미 스탠퍼드대 교수 등 역대 호암상 수상자들이 강연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