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구직자 10명중 6명은 “29세이하 청년고용의무화법 반대”

구직자 10명 가운데 6명은 공공기관과 지방공기업 정원의 3%를 만 29세 이하 청년으로 채워야 하는 ‘청년고용특별법’법에 반대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취업포털 사람인은 지난 14∼23일 구직자 1,2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자 중 789명(63.9%)은 “공공기관 청년고용 3% 의무화법에 반대한다”고 답했다고 30일 밝혔다.

반대하는 이유로(복수응답)는 ‘나이 때문에 차별받는 것 같아서’라고 답한 응답자가 75.7%로 가장 많았으며, ‘열린 채용에 역행하는 것 같아서’(55.6%), ‘공정한 평가기준이 아니라서’(54.6%) 등의 답변이 나왔다.


반면 찬성하는 구직자는 ‘청년 취업난 해소에 필요한 제도라서’(70.6%), ‘나에게 도움이 되는 제도라서’(31%), ‘나는 아니지만 혜택은 돌아가는 것이라서’(17.8%) 등의 이유를 꼽았다.

관련기사



설문에 응한 구직자 가운데 85.4%는 법에 적용된 청년 기준의 연령이 더 높아져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으며, 이 가운데 절반 이상(52.8%)이 만 39세로 기준을 높일 것을 희망한다고 밝혔다.

또 구직자의 75%(926명)는 연령 때문에 차별을 받아봤다고 답했으며, ‘연령 제한으로 지원이 안될 때’, ‘면접에서 연령 관련 질문을 받았을 때’, ‘졸업예정자 등이 우대조건일 때’에 차별을 느꼈다고 답했다.

기업 형태별로는 대기업에서 차별을 받았다고 느낀 구직자가 60.7%로 가장 많았고 중견기업(22.5%), 중소기업(16.9%) 순이었다.

국회는 지난달 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공공기관과 지방 공기업이 매년 만 15∼29세의 청년 미취업자를 정원의 3% 이상 고용하도록 하는 내용의 청년고용특별법 개정안을 통과시킨 바 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