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역사의 향기] <14> 백제 배


한성백제가 강국으로 군림한 것은 동북아시아의 바닷길을 장악했기 때문이다. 한반도 남부의 신라ㆍ가야와 왜국 등은 백제의 앞마당을 지나지 않고는 중국 왕조들과 교류가 불가능했다. 이는 거꾸로 중국에서 한반도와 왜로 갈 때도 마찬가지였다.

관련기사



선박들이 나침반이 없던 시기인 당시의 항해기술로는 최대한 육지 가까이 붙어서 이동하는 것이 조난 등 해양사고를 줄이는 최선책이었다. 서해 바닷길은 고대에는 중국 산동반도와 요동반도를 잇는 북부연안항로가, 그리고 삼국시대 들어와서는 산동반도와 황해도를 잇는 중부횡단항로가 주로 이용됐다. 즉 왜에서 중국으로 갈 경우 지금의 대한해협을 통과하고 전라도 연안과 경기만을 거쳐 서해에서 가장 폭이 좁은 황해도에서 산동반도로 이동하는 코스가 실질적으로 유일했다. 이것은 백제의 중계무역을 가능케 한 조건이 됐다. 강력한 군사력을 보유했던 백제는 더 나아가 만주와 중국 산동지방, 왜의 규슈 지역까지 진출하면서 식민경영을 하기도 했다.

사진은 송파구 한성백제박물관에 전시된 백제 배의 모형이다. 백제인들은 이런 배를 타고 서해를 마치 자국의 '호수'처럼 주름잡았다.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