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요건·절차 모두 갖춰 등록 신청 마쳤다면 "대형마트 재래시장 입점 못막는다"

부산항만공사(BPA)가 러시아 나훗카항 컨테이너부두 개발 사업과 관련해 투자 손실이 우려된다는 감사원의 지적을 무시하고 사업을 강행, 수십억원의 투자금을 날릴 위기에 처한 것으로 드러났다. 17일 부산지역 항만업계에 따르면 BPA는 지난 2007년부터 러시아 민간철도운송회사인 극동운송그룹(DVGT)과 나홋가항 컨테이너부두 개발 사업을 추진해왔다 총 1,458억원을 투입, 어항인 나훗카항을 컨테이너 및 다목적 항만으로 개발하겠다는 계획이다. BPA는 DVGT와의 협약을 통해 우선 48억원의 현금을 투자했다. 나훗카항은 항로 수심이 9~9.5m기 때문에 2,000TEU급 선박이 운항할 수 있는 수심(12m)보다 3m나 부족한 상태였다. 하지만 BPA는 지난 2007년 12월 DVGT와 개발 사업 양해각서를 체결하면서 항로준설 주체, 비용 부담 및 준설 완공시기 등에 대한 책임과 의무를 명확하게 정하지 않았다. 감사원은 지난 2009년 BPA를 감사하며 나훗카항 개발 사업의 양해각서가 명확하지 않아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항로준설이 안 돼 있으면 부두 운영에 차질을 빚을 것이란 점을 지적한 것. 하지만 BPA는 DVGT는 글로벌 금융위기로 경영이 어려워졌음에도 불구하고 현지 사정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사업을 계속 추진해왔다. 결국 DVGT가 지난 3월 러시아 법원의 선고로 파산감독절차에 들어가면서 이 사업은 사실상 물거품이 됐다. 48억원의 투자금도 날릴 판이다. BPA는 지난 4월 DVGT와 맺었던 협약을 해지했으며, 주요 정책을 결정하는 최고 심의ㆍ의결 기구인 항만위원회에는 최근에서야 사업 실패 현황을 처음으로 정식 보고했다. 지역 항만업계에서는 BPA가 의도적으로 사업 실패 사실을 숨겼다고 의심하고 있다. 항만업계의 한 관계자는 “노기태 BPA 사장이 연임이 확정된 후 항만위에 사업 실패 사실을 보고한 점이 석연치 않다”고 지적했다. 노 사장은 지난 7월 재선임이 결정됐다. BPA측은 이에 대해“확실한 대응 방안을 찾지 못해 항만위에 등에 보고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항만업계에서는 수십억 원의 국가 자산이 날아갈 위기에 처한 만큼 정부 차원의 철저한 진상조사가 필요하다고 요구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