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세종시 애로' 해결사 나선 현오석 부총리

중매쟁이서 농구선수·바리스타까지 깜작 변신

최근 몇 년 동안 공직에 첫걸음을 내디뎠던 일부 여성 행정고시 합격자들은 예기치 않은 '굴욕(?)'을 맛봐야 했다. 한 유명 결혼정보업체가 합격 동기 남성들에게는 공짜로 회원 가입을 권유하면서 여성들에게는 수백만원의 가입비를 제시한 것이다. 국민이 보기에는 엘리트의 길을 걸어온 이른바 '국민 엄친딸'들이건만 결혼을 앞둔 일부 남성들로부터는 선호도가 높지 않다는 게 가입비를 요청당한 이유였다. 휴일도 잊은 채 밤 늦도록 일하느라 가사에 전력을 쏟을 수 없었던 중앙부처 여성 공무원들의 애환이다.

문제는 부처들이 세종시로 이주하면서 여성 공무원의 만혼ㆍ미혼 문제가 더 심각해졌다는 점. 이런 와중에 세종청사 등에서는 최근 이색 이벤트가 추진돼 화제를 모았다. 미혼 공무원들의 공개 맞선행사다. 여성 공무원의 혼인 문제를 풀어보자는 현오석 부총리의 아이디어였다.

현 부총리가 이런 아이디어를 낸 것은 세종시 입주 부작용을 조금이라도 풀어보자는 차원에서다. 수도권 생활에 익숙했던 관료들이 빨리 지방생활에 익숙해지도록 현 부총리는 '세종 스타일' 정착에 박차를 가하는 중이다.


화상회의 시스템 활용도 그런 차원에서 현 부총리가 관심을 갖는 이슈다. 각종 회의ㆍ보고 등을 화상 미팅 형태로 진행하면 서울까지 오가면서 버려질 업무시간을 아낄 수 있기 때문이다. 현 부총리는 아예 "언론과의 간담회도 급할 때는 화상으로 하는 것이 좋겠다"며 운을 뗐다.

관련기사



세종시와 서울을 오가며 현 부총리가 느끼는 개선 필요사항들은 한두 가지가 아니다. 그중에서도 직원들과의 소통시간 감소 문제는 심각하다.

현 부총리는 월요일을 포함해 일주일에 최소 이틀은 세종시에서 집무를 보려 하지만 국회 등의 일정으로 예기치 못한 상황이 다반사여서 지키기가 쉽지 않다. '부총리 임기가 끝날 때까지 얼굴 한번 못 볼 직원이 있을 수 있다'는 이야기까지 나올 정도다.

현 부총리도 이를 의식해 짬을 내 직원들과 이색행사를 열고 있다. 지난 9일에는 '재농회'로 불리는 기재부 농구동호회원이 세종청사에서 연 우호경기에 선수로 깜짝 출연해 자신이 속한 팀의 12득점 중 10득점을 내는 기염을 토하는가 하면 23일에는 배드민턴 시합을 열었다. 20일에는 부처 내 바리스타 동호회 모임에 나와 원두커피 마니아로 변신하는 등 직원과의 접촉점을 늘려가려 애쓴다.

다만 이는 정부 부처만으로는 달성되기 어렵다. 국회와 청와대ㆍ지방자치단체 등 정부의 정책 파트너도 함께 동참해야 세종청사 시대가 가속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회 일부 상임위원회를 세종시에서 열어 행정력 분산을 덜어주는 정치권의 배려도 필요해보인다.

특히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가 상설화될 경우 최소한 세종시에 분소를 열어주는 방안을 검토해볼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