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지자체·대학들 "원전인력 키우자"

경북도·경주시·한수원 MOU 체결…기술사업화센터 등 유치도


"원자력 전문인력을 키우자" 정부의 원자력 증설계획 및 수출산업화 전략에 따라 앞으로 이 분야 전문인력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와 대학이 관련 인력양성에 앞다퉈 나서고 있다. 경북도는 24일 도청에서 경주시, 한국수력원자력과 함께 '국제원자력 기능인력교육원 시범사업'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사업은 국제원자력 기능인력교육원 설립까지 앞으로 수년이 소요되는 만큼 설립 전까지 시범사업으로 '글로벌 원전 기능인력 양성사업단'을 세워 기초 기능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것. 국제원자력 기능인력교육원은 지식경제부의 원자력 전문인력 양성계획에 포함돼 있고 올해 설립방안에 대한 연구용역이 실시될 예정이다. 경북도는 현재 국제원자력 기능인력교육원의 경주 유치를 추진중이다. 이번 MOU에 따라 경북도와 경주시는 시범사업단 설립을 위한 부지확보를 지원하고, 한국수력원자력은 교육프로그램 개발, 교육생 모집 등 설립ㆍ운영 전반을 담당하게 된다. 우선 올해 30억원을 투입해 경주시 양북면 옛 양북초등학교를 리모델링한 뒤 올 하반기부터 원전 주변 주민, 경주시민, 도민 등의 순으로 신청을 받아 무료교육을 실시하고 내년부터는 전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대학과 연계한 원자력 전문인력 양성도 활발하다. 도는 현재 원자력 관련 학과 또는 전공을 운영하고 있는 동국대(경주캠퍼스), 영남대, 위덕대에 연간 각 1~2억원의 예산을 각각 지원하고 있다. 대학측은 이 예산으로 최신 교육기자재 및 우수한 교수진을 확보하고 국내외 원자력 산업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전문인력을 양성하게 된다. 포스텍 첨단원자력공학부와도 원자력 고급인력 양성을 진행중이다. 국내ㆍ외 원전 수요 증가에 따라 오는 2020년까지 원전 설계, 기자재, 시공관리, 유지ㆍ보수, 운영, 연구개발 등과 관련 약 2만4,000명의 전문인력 신규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경북도는 전망하고 있다. 이 외에 고리원전이 위치한 부산에서도 원자력부품산업단지 조성 등과 함께 대학ㆍ대학원과 연계한 원자력 전문인력 양성이 진행중이고, 충청권 역시 '원자력 산업육성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원자력산업기술사업화센터와 인력양성센터 등의 유치에 나서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