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9월 17일] 'G20 정상회의' 경제효과 극대화하려면

오는 11월 서울에서 열리는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경제적 효과가 쏘나타 100만대, 30만톤급 초대형 유조선 165척을 수출하는 것과 맞먹는다는 연구 결과는 이번 회의의 중요성을 거듭 일깨워준다. 삼성경제연구소는 '서울 G20 정상회의와 기대효과' 보고서를 통해 직ㆍ간접 경제적 파급효과가 21조5,576억~24조6,395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회의에 따른 직접적 효과는 외국인 참가자들의 소비지출 등 1,023억원 정도로 추산됐다. 그러나 간접적으로는 기업 홍보효과 1조738억~1조2,390억원, 수출증대 18조9,587억~21조8,755억원, 해외자금 조달비용 절감 1조4,228억원 등을 포함해 막대한 효과를 거둘 것으로 분석됐다. 이를 모두 합치면 11만2,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국가 브랜드 수준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30개국 중 현재의 19위에서 2~3단계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30여명의 국가정상급 인사와 세계적 기업인들이 참석하는 이번 회의기간 동안 세계의 눈은 온통 서울로 쏠리게 된다. 한국을 세계에 알리는 데 이보다 더 좋은 기회가 없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국제무대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을 높이고 엄청난 경제적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이번 회의에 대한 정부의 빈틈없는 준비와 함께 국민의 관심과 협조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번 서울회의에서 의미 있는 합의를 이끌어냄으로써 G20 회의가 지속될 수 있는 발판을 구축하는 일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초기에 구축됐던 각국의 긴밀한 공조는 세계경제가 침체의 터널에서 벗어날 조짐을 보이면서 느슨해지고 있다. G20 회의의 한계와 의미를 축소하는 비판적 의견도 만만치 않다. 일각에서는 서울 회의가 마지막 회의가 될지 모른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이런 부정적 측면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서울회의에서 금융안전망 구축과 재정위기 극복, 선ㆍ후진국 간 개발협력 등 글로벌 이슈를 중심으로 가시적 성과를 도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개최국인 우리의 역할이 중요하다. 각국과의 긴밀한 협력과 조율을 통해 실질적인 합의가 나올 수 있도록 협상력을 발휘해야 한다. 아울러 안전에 만전을 기하고 대형 국제행사가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실무적인 절차도 빈틈없는 준비가 요구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