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TV '3D 입체영상 시대' 열린다

SKT '실시간기술' 개발…내년 상반기께 상용화 계획


리모콘 버튼 하나만 누르면 TV를 3D(3차원) 입체영상으로 즐길 수 있는 시대가 열린다. SK텔레콤은 모든 영상을 3D 영상으로 변환 재생해주는 '실시간 3D입체화 기술'을 벤처기업 ECT와 공동으로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SK텔레콤은 이날 본사에서 열린 시연회에서 이 기술을 공개하고, 내년 상반기에 상용화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실시간 3D입체화 기술은 미국의 DDD 등 글로벌업체 4개사만 보유하고 있다. SKT의 3D입체화 기술은 시청자들이 느끼지 못하는 짧은 시간에 평면 영상으로 제작된 영화ㆍ드라마 등을 3D입체 영상으로 바꾸는 최첨단 기술이다. 평면 영상의 공간ㆍ색깔ㆍ움직임 등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가상의 입체영상을 생성하고, 이를 입체안경을 착용한 시청자들의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교차 전달해 입체감을 형성하는 방식이다. SKT는 이 기술은 풀HD(1080p)급 영상을 끊김 없이 3D입체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고, 품질도 3D전용으로 제작된 콘텐츠에 비해 손색없는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화면을 대각선에서 바라봤을 때 잔상이 생겨 개인에 따라 어지럼증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은 해결과제로 지적된다. 이 회사의 한 관계자는 "내년 상반기면 잔상 효과가 상당부분 개선될 것으로 보이며, 지속적인 버전 업그레이드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실시간 3D입체화 기술은 보드형 제품을 통해 올해부터 보급되기 시작한 3D재생 기능이 있는 TV, 노트북 등에서만 구현 가능하다. 하지만 내년 상반기에 칩형 제품이 개발 완료되면 TV, 노트북은 물론 인터넷TV, 휴대폰, 데스크톱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칩 가격은 10~20달러 수준으로 예상된다. 방송국의 방송송출장비에 이 기술을 탑재할 경우 '실시간 3D방송'이 가능해 가정에서는 입체안경만 있으면 별도의 장비를 설치하지 않아도 손쉽게 3D영상을 볼 수 있다. SKT는 이 기술을 활용한 3D 미디어 솔루션을 글로벌 가전 및 미디어업체에 수출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미국 할리우드를 중심으로 매년 3D입체 영화가 제작되고 일본에서는 3D전용 채널이 시범 운영되고 있는 등 3D 분야는 차세대 미디어 산업의 핵심으로 주목 받고 있다. 국내ㆍ외 대형 가전업체들도 앞다퉈 3D TV 출시 계획을 발표하고 있는 상황이다. SKT는 3D 재생장비 보급 및 방송 채널 확대가 이뤄지면 국내 3D미디어 산업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했다. 설원희 SKT M&F(미디어&퓨처)사업부문장은 "이 기술을 통해 확보되는 풍부한 3D 콘텐츠를 바탕으로 3D미디어 관련 시장도 동반 성장할 수 있다"며 "SKT와 벤처기업이 힘을 모아 만든 기술이 한국의 미디어 산업을 성장시키는 촉매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