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북극해 쟁탈전 가열

러, 이번엔 국립공원 설정계획 세워 美도 방관적 자세탈피 해저측량 준비

북극 심해탐사 성공으로 인접 국가들간 북극해 영유권 전쟁에 불을 붙인 러시아가 이번에는 북극해에 자연 보호구(국립공원)를 설정하려는 계획을 세워 논란이 예상된다. 러시아 천연자원부는 14일(현지시간) 러시아 북부 섬들을 포함한 북극해에 이른바 ‘러시아 북극해’라고 명명된 자연보호구 설치 계획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자연보호구는 북극해의 5만1,200 ㎢를 포함해 프란츠 조지프 군도와 빅토리아 섬을 아우르게 된다. 천연자원부측 관계자는 “이 프로젝트는 2001년 시작돼 최근의 심해 탐사와 전혀 관계가 없다”면서 러시아의 북극해 영유권 주장과 무관함을 강조했다. 자연보호구 지정을 위해서는 그 지역에서 작전을 수행하고 있는 러시아 국방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심해 탐사에 이어 러시아가 자연보호구까지 지정함으로써 새로운 ‘냉전(冷戰)’이 전개 중인 북극이 또 한번 떠들썩할 것으로 보인다. 자원의 보고(寶庫)인 북극해에 대한 영유권 경쟁은 지난 2일 러시아 탐사대가 북극점 아래 심해에 자국 국기를 꽂으면서 가속화되고 있다. 러시아는 북극점을 가로지르는 로모노소프 해령(해저산맥)이 러시아의 동시베리아 초쿠카 반도와 대륙붕으로 연결돼있다는 증거를 찾아 자국 영토임을 입증하려고 하고 있다. 이후 러시아의 심해 탐사에 자극받은 캐나다와 덴마크, 미국 등이 잇따라 탐사대와 연구팀을 보내면서 북극 영유권 쟁탈전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인접영역이 작아 그동안 방관적인 자세를 보인 미국마저 오는 17일 해안경비대 소속 선박을 보내 알래스카의 노스슬로프 지역에서 북쪽으로 약 805km 뻗어나간 수중평원인 추크치곶의 해저 측량을 할 계획이다. 앞서 캐나다는 총리가 직접 북극해를 찾았고 덴마크도 지난 12일 그린란드의 북쪽 해저 지역 측량을 위해 탐사대를 보내는 등 북극 탐사를 시작했다. 현재 북극에는 개발되지 않은 전세계 원유ㆍ천연가스 매장량의 25%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