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파이낸셜 포커스] 대형 1~2곳 생존 놓고 막판 줄다리기

초읽기 들어간 '저축銀 살생부'<br>5곳 내외로 퇴출 최소화 관측<br>증자·대주주 사재출연이 관건


금융 당국의 저축은행 '살생부' 발표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전체적으로 다섯 군데 안팎이 퇴출 대상이 될 것이라는 예상은 유효한 가운데 대형 저축은행 1~2곳을 적기시정조치 대상에 포함시킬지 여부를 두고 막판 줄다리기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축은행 가운데 집중적으로 관심을 모았던 서울 소재의 일부 대형사들은 사옥 매각과 유상증자 등으로 사실상 '합격' 판정을 받았다. 당국은 마지막 심사 과정에서 저축은행들이 끈질기게 요청했던 대출 모집인 중개 수수료의 회계 분할 반영 사안에 대해 업계의 의견을 수용하기로 해 퇴출 대상이 최소화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아직까지 퇴출대상 심사…막판가야 최종 대상 정해질 듯=영업정지되는 저축은행 수는 아직까지 정해지지 않았다.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1% 미만이더라도 경영평가위원회에서 최종적으로 생존의 손길을 내밀면 회생 기회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 당국은 지난달 말 12개 저축은행에 영업정지 대상 후보라는 것을 통보했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영업정지되는 수는 이보다 훨씬 적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 당국은 영업정지 저축은행의 조건으로 ▦BIS 비율 1% 미만 ▦자본잠식 ▦경평위 불승인 등 세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로 한정하고 있다. 경평위에서도 저축은행 대주주를 불러 소명 기회 등을 준다. 이 때문에 5개 내외 정도가 영업정지될 것이라는 예상이 저축은행 업계 안팎에서 흘러나온다. 이에 따라 막판으로 갈수록 관심은 대형 저축은행이 과연 퇴출 대상에 포함될지, 숫자는 얼마나 될지가 관건이다. 대형사가 몇 개나 포함되느냐에 따라 시장의 충격이 달라질 수 있어서다. 지금까지는 '대마불사'론이 유력했지만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결과를 두고 봐라. 일관된 기준으로 진행하고 있다"며 일부 대형사가 포함될 수 있음을 시사해 막판까지 결과를 점치기 힘든 상태다. ◇유상증자ㆍ사재출연이 관건=지금으로서는 부실 저축은행이 살길은 사실상 유상증자뿐이다. 경평위가 언제 실현될지 모르는 계열사 매각보다는 명확한 자구계획만 인정해주는 분위기이기 때문이다. 특히 당국이 대출모집인 수수료를 한번에 비용처리하라고 하던 것을 몇 년에 걸쳐 나눠 처리할 수 있도록 최근 방침을 바꾸면서 실질적인 증자 없이는 경평위의 '합격' 판정을 받을 수 없는 처지다. 회계처리 기준을 바꾸면서 대형사별로 많게는 수백억원까지 이번 회계연도에 비용을 아낄 수 있게 됐다. 당국 입장에서는 해줄 수 있는 것은 다해준 셈이다. 저축은행 업계의 관계자는 "계열사 매각의 경우 양해각서(MOU)나 인수의향서(LOI)를 내는 정도는 안 되고 계약금이 예치돼야 경평위가 자구계획으로 인정해주는 분위기"라며 "대형 저축은행들은 계열사 매각이 아닌 자산 매각이나 대주주 사재출연을 통한 유상증자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생사가 갈리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대형 저축은행들은 유상증자를 추진하고 있다. 솔로몬저축은행은 지난 14일 1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중 대주주인 임석 회장이 25억원을 내놓는다. 사실상의 사재출연이다. 현대스위스저축은행도 김광진 회장이 직접 나서 유상증자를 계획 중이다. 한국저축은행도 다음달 100억원 규모의 증자를 실시하며 토마토저축은행도 대규모 자본확충을 계획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