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오늘의 경제소사/7월28일] 보너스 아미


1932년 7월28일 미명. 맥아더 육군참모총장이 부관 아이젠하워 대령을 불러 진격 명령을 내렸다. 선봉은 조지 패튼 소령이 지휘하는 기병대. 탱크 6대의 지원을 받은 기병대는 목표물을 향해 내달렸다. 상대방은 독일군도 일본군도 아닌 퇴역 미군. 미군끼리 다투는 사태가 발생한 원인은 딱 한 가지다. 돈. 1차 대전 참전용사들의 참전수당 선지급 요구가 발단이다. 1924년 마련된 참전수당의 기준은 하루 1달러(미국 내 근무자)와 1달러25센트(유럽전선 파견자). 지급 총액이 50달러 이하인 경우는 바로 지급됐지만 그 이상인 경우는 1945년으로 미뤘다. 지불 총액의 25%를 더 내주고 연 4%의 이자를 쳐준다는 조건과 함께. 문제는 대공황. 생계가 어려워지자 참전용사들은 지급시기를 앞당겨달라며 워싱턴으로 모여들었다. 유럽원정군을 빗대어 보너스원정대(Bonus Expeditionary Force)라는 이름을 스스로 붙인 퇴역군인들과 그 가족들의 행렬은 ‘보너스 아미’로 불렸다. 포토맥 강변에 천막을 치고 농성하던 2만여명의 보너스 아미가 의사당으로 행진한다는 계획을 세우자 후버 대통령은 군을 동원했다. 맥아더는 보너스 아미가 ‘평화주의자와 그 동침 상대인 공산주의자 집단’이라며 철저하게 진압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최루탄과 총검이 동원된 진압작전으로 퇴역군인 2명이 죽고 100여명이 다쳤다. 불타는 천막촌에 뿌려진 최루가스로 10개월짜리 아기 2명도 질식사했다. 보너스 아미는 전국으로 흩어졌지만 정치와 정책에 적지않은 영향을 미쳤다. 공황으로 바닥을 기던 후버 대통령의 지지도가 더욱 떨어지고 결국은 루스벨트에게 백악관까지 내줬다. 퇴역군인연금제도 도입과 제대군인우대법(1944년)도 보너스 아미 사건에 대한 반성이 낳은 결과물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