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與 주류 '세종시 당론 수정' 공식화

"친박계등 반대파 설득 어렵다"… 정몽준 대표'정면돌파' 선택<br>5년전처럼 무기명 투표 예상속 지역민심 따를 중립계 최대변수

한나라당 주류가 세종시에 대한 당론 수정을 공식화한 가운데 정몽준(오른쪽) 대표가 20일 한나라당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오대근기자

5년 전과 똑같은 싸움이 벌어질까. 한나라당 주류가 세종시 당론 수정을 20일 공식화했다. 방법은 5년 전 당론을 결정할 때와 마찬가지로 무기명 투표에 붙일 가능성이 높다. 이 과정에서 박근혜 전 대표를 비롯한 수정안 반대파와 친이계 의원들은 전면전을 벌일 태세다. 그럼에도 친이계는 당론 수정을 추진했다. 이는 친박계를 설득한다는 '우회로'를 포기하고 당론 수정이라는 '직행로'를 택했다는 뜻이다. ◇시동 건 주류, 가능할까=정몽준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ㆍ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원안과 수정안 중 어떤 것이 당내 공감대가 큰지 민주적 방식과 정해진 절차에 따라 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현재의 한나라당 당론은 지난 2005년 결정했다. 이미 정한 원안과 수정안을 논의한다는 것은 수정안으로 바꾼다는 얘기다. 방법은 정 대표의 말대로다. 의원총회를 열어 토론을 거친 뒤(민주적 방식) 당헌에 따라 재적의원의 3분의2 이상이 찬성하면(정해진 절차) 당론은 바뀐다. 투표 방식은 2005년 때처럼 무기명 비밀투표가 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핵심은 친이-친박-중립계의 표가 어디로 쏠릴 것인가다. 현재 한나라당 소속의원 수는 169명이며 3분의2를 넘기 위해서는 최소한 113명이 수정안에 찬성해야 한다. 169명 가운데 친이계는 약 85명, 친박계는 60여명, 중립계는 25명 안팎이다. 우선 중립계 의원들의 경우 지역민심을 감안해 표를 던질 것으로 보여 최대 변수다. 이에 비해 친이-친박의 두 수장이 눈을 부릅뜨고 있는 가운데 계파 소속 의원들이 배반할 가능성은 낮다. 다만 충성도가 약한 범친이계 일부와 수정안에 부정적인 친박계가 서로 엇갈려 투표할 가능성이 있다. ◇정면 돌파 이유는=당론 수정을 표결하면 친이-친박계가 얼굴을 붉힐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는 2005년 당시 박 대표와 친이계 사이의 정면대립 상황을 떠올리게 한다. 친이계 의원들은 단식 투쟁을 하며 탈당을 거론했고 박 대표는 "나갈 테면 나가라"며 맞섰다. 그럼에도 당 주류가 정면 돌파를 선언한 이유는 우선 충청권과 박 전 대표의 마음이 돌아서지 않기 때문이다. 충청민심은 수정안에 여전히 비우호적이다. 이는 박 전 대표의 주장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여권 주류는 더 이상 설득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하고 강행으로 전략을 수정한 것이다. 더 깊이 들어가면 세종시 정국에서 승기를 잡아야 남은 선거를 주도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당 주류 입장에서는 오는 6월 지방선거에서 나타나는 민심과 당심을 잡아야 레임덕 없이 국정 운영권을 갖는다는 것이다. 친박계 일부에서는 세종시 수정안 표결은 친박계를 분열시키려는 의도라고 풀이하기도 한다. 다만 친이ㆍ친박 모두 현 정부에서 수정안을 채택하더라도 다음 정부에서 원안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고 본다. 본격적인 부처 이전은 다음 정부인 2012년으로 예정하고 있는데 친박계를 비롯해 야권에서도 원안을 고수하기 때문이다. 이 점은 친이계가 '일단' 당론을 바꾸려는 이유이기도 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