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3차 글로벌 금융위기 오나] "유로존 미덥지 않네" 폴란드, 가입 재검토

그리스 사태로 유로화에 대한 의구심이 깊어지고 있는 가운데 유로존(유로화를 사용하는 16개국) 가입을 추진해온 폴란드가 '유로존 진입' 여부를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대신 폴란드는 지난해 국제통화기금(IMF)과 체결한 탄력대출제도(FCL) 기간을 연장해 위기 선제조치에 나설 계획이다. 폴란드는 지난해 유럽연합(EU) 27개 국가 가운데 유일하게 마이너스 경제성장을 기록하지 않는 등 양호한 경제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유로존의 영향력이 앞으로 더욱 약화될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지적했다. 6일(현지시간) 도날트 투스크 폴란드 총리는 기자회견에서 "그리스 사태가 유로존 존재 자체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며 "폴란드의 유로존 가입은 현시점에서 정부의 우선순위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위톨드 코진스키 폴란드 중앙은행 총재도 이날 "우리는 남부유럽에서 일어난 위기를 관찰해 폴란드로 전염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며 "폴란드가 유로존 가입을 연기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지난 2004년 EU 회원국이 된 폴란드는 지난해 7월 경제위기로 재정적자가 늘어나며 자국 화폐인 즐로티 가치가 폭락하자 오는 2012년을 목표로 진행해온 유로존 가입 준비회담을 일시 중단했다. 블룸버그통신은 "폴란드가 유로존 가입 유보 가능성을 다시 한번 분명히 했다"며 "현재 정부는 2015년을 유로화 적용을 논의할 새로운 시점으로 보고 있다"고 평했다. 투스크 총리는 이어 "현 즐로티화 하락은 유로존 진입 포기 가능성과 상대적으로 양호한 유동성 때문"이라며 "폴란드로 위기가 전염될 가능성은 전무하지만 선제 조치로 IMF와의 FCL을 1년 더 연장하는 것이 좋다고 본다"고 언급했다. FCL은 일시적인 자금이 필요한 우량 신흥국이 IMF의 지원재원 한도 내에서 돈을 빌릴 수 있게 한 단기 외화자금대출제도로 폴란드는 이 제도를 활용해 2,060만달러를 대출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