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감전 재해 여름철에 절반이상 집중

산업안전보건공단은 23일 감전 재해가 여름철에 집중되고 있다며 근로자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산업안전보건공단이 지난해 발생한 산업현장 감전 재해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사망자 52명 가운데 28명(54%)이 여름철인 7∼8월에 발생했다. 또 근속기간 6개월 미만 근로자의 감전에 따른 사망이 전체 감전 사망 근로자의 55.8%(29명)로 가장 많았다. 공단은 “여름에는 높은 습도 때문에 누전 우려가 크고 땀으로 인체 저항이 감소해 다른 계절보다 감전 재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며 “게다가 더위 때문에 집중력이 떨어지는 점도 감전사고의 원인으로 지적된다”고 말했다. 감전재해는 재해 발생시 사망으로 이어질 확률이 다른 재해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공단이 지난해 업무상 사고로 사망한 근로자 1,448명에 대해 재해발생 형태별로 사망률을 조사한 결과 감전으로 말미암은 사망률은 11.6%였다. 이는 3대 산업재해로 불리는 추락(3.3%), 감김이나 낌(협착, 0.68%), 넘어짐(전도, 0.53%)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공단은 여름철 감전 재해를 막으려면 모든 전기기기에 대해 철제 외부 공급함을 접지하고 이동형 전기기기에는 누전차단기를 설치하며 전기기기를 수리하거나 보수할 때는 반드시 전원을 꺼 놓으라고 권고했다. 동료가 감전돼 숨이 멈췄을 때는 1분 이내에 인공호흡 등 응급조치를 하면 소생률이 95%까지 상승하지만 응급조치 시간이 늦어질수록 소생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점도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