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 "환율 안정유지"

인민銀, 부시 위안貨재평가 압박에 입장밝혀

중국 인민은행이 최소한 올해 말까지는 위안화 환율과 통화정책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천명했다. 인민은행의 이런 언급은 조지 부시 미 대통령의 19일 중국 방문을 앞두고 위안화 재평가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는 상황에서 나온 것이어서 주목된다. 인민은행은 10일 발표한 ‘3ㆍ4분기 통화정책 집행보고서’를 통해 합리적인 수준에서 위안화 환율의 안정을 유지하는 것이 4ㆍ4분기 외환정책 운영 방침이라고 밝혔다. 인민은행은 이 보고서에서 위안화 환율은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극히 안정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당분간 합리적인 수준에서 환율을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환율은 시장에서 결정되도록 만드는 것이 환율개혁의 목표라면서 이를 위해 ▦시장기능을 강화하는 한편 ▦외환시장 확대 ▦외환 파생상품 개발 ▦외환관리 시스템 개선 등과 함께 외환자금의 유출통로 확대로 국제수지의 균형을 이루어 나가겠다는 설명했다. 인민은행은 또 안정을 기반으로 한 통화정책의 개혁을 위해 ▦금리시장화정책 이행 ▦신용대출정책을 통한 시장조정기능 발휘 ▦금융시장 건설과 및 금융상품 개발 ▦금융 구조개혁 가속화 등을 구체적인 목표로 정했다. 그러나 인민은행의 이번 보고서에도 불구하고 부시 대통령의 방중에 맞춰 어떤 형태로든 환율시스템의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예측이 힘을 얻고 있다. 인민은행 화폐정책위원회 위융딩(余永定) 위원은 최근 한 강연에서 위안화 환율의 변동구간을 확대해 변동성과 신축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된다. 그는 또 장기적으로 볼 때 위안화의 평가절상은 피할 수 없다면서 ‘7.21 환율개혁’ 이래 중국 외환시장에서 위안화 변동률이 극히 낮아 공연한 오해를 사고 있다고 지적했다. 저우샤오촨(周小川) 인민은행장도 “위안화를 절상하면 수출에 큰 손실이 있을 것이라는 일부 경제학자들의 주장은 ‘지나친 우려’”라며 “환율변동폭을 더 확대해도 중국 경제는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고 밝혀 추가절상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