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무너지는' 음식업계

올들어 매달 1만7,000여곳 휴·폐업 속출

올들어 문을 닫거나 쉬는 음식점이 매달 1만7,000여개 이상 발생하는 등 계속되는 경기침체로 음식업계가 무너지고 있다. 이 때문에 식당업주들이 세금감면을 요구하며 집단 행동에 들어가기로 했다. 15일 한국음식업중앙회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 8월까지 휴업ㆍ폐업한 전국의 일반음식점은 각각 9만3,984개, 4만5,834개로 모두 13만8,818곳으로 집계됐다. 이는 매달 평균 1만7,000여 업소가 문을 닫거나 쉰다는 것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25% 가량 증가한 수준이다. 이에 따라 취업자 수도 갈수록 줄어 음식ㆍ숙박업의 경우 3월 13만여명에서 8월에는 2만여명으로 무려 85%(12만여명)가 급감했다. 최노석 중앙회 기획정책실장은 “상당수 음식점이 누적되는 적자를 견디지 못하는 한계상황에 직면해 있다”고 지적, “불황추세가 계속된다면 연말쯤 음식점의 줄도산이 발생해 실업자 수가 50만명에서 100만명에 이르게 될 것”이라며 범정부적 차원의 대책을 촉구했다. 이와 관련, 중앙회는 이날 음식업자의 제조ㆍ가공물 등에 적용되는 부가가치세인 ‘의제매입세액공제율’을 현행 103분의3에서 110분의10으로 인상해줄 것을 요구하는 탄원서를 청와대와 각 정당, 재정경제부 등에 보냈다. 또 신용카드로 돈을 받을 경우 세액공제 범위를 발행금액의 1%에서 2%로 올려줄 것도 촉구했다. 이 두 가지 요구가 충족되면 2,500억원 정도의 세금감면 효과가 발생한다. 아울러 중앙회는 오는 11월2일 5만명의 음식업자가 참여하는 대규모 집회를 계획하고 있다. 장소는 국회 인근 여의도공원이나 대학로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