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이 경제대국으로 부상하면서 이제 무역도 자기 통화로 결제하는 시대에 들어서고 있다.
이에 한·중 FTA를 통해 내수시장을 적극 개척해야 하는 우리 기업들도 위안화 무역결제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북경지부의 ‘최근 위안화의 국제화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에 의하면 중국은 2009년 4월부터 위안화에 대한 무역결제를 허용한 이후 매년 30%에 육박하는 신장률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위안화를 통한 수출입 결제액은 5조9,000억 위안으로 2011년의 1조6,000억 위안에 비해 3.7배가 늘어났다. 전체 중국 무역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같은 기간 6.9%에서 22.3%로 뛰어 올랐다. 특히 지난해 위안화 결제비중은 전년보다 10.7%p 높아져 비중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는 중국 정부가 지역별로 제한을 뒀던 기업의 위안화 무역결제와 국제투자에 대한 규제를 2011년에 완전히 제거한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1월에 위안화는 캐나다 달러와 호주 달러를 제치고 사상 처음으로 전세계 결제통화 순위에서 5위에 진입했고, 조만간 일본의 엔화도 추월할 전망이다. 2013년 1월에만 해도 위안화의 국제 결제통화 비중은 0.63%로 순위는 13위에 불과했다.
위안화의 국제화가 급속히 진전되고 있지만 한국 기업의 위안화 무역결제 비중은 2%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전체 거래액의 95%를 달러화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내수시장에 대한 공략이 시급한 상황에서 위안화 결제는 중국 바이어에게 환전수수료를 절감해 주고 환율변동 리스크를 제거해 안정적인 마케팅을 유도할 수 있다. 또 중국내 자회사가 있다면 환전수수료 절감 등 이점을 한국 본사가 누릴 수 있어 최근 일부 국내기업도 본사와 지사간 무역과 투자금을 위안화로 송금하고 있다.
최용민 한국무역협회 북경지부 지부장은 “위안화 국제화는 중국 정부의 중점 정책인데다 설립 추진중인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프로젝트의 대금결제와 투자에 위안화가 상당부분을 차지해 위안화 국제화를 촉진할 전망”이라면서 “환변동 위험, 은행 수수료, 중국내 바이어 이익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위안화 결제를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