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복고·클래식바람 "우아하고 기품있게"

여성복-치마 무릎덮을 정도 길어지고 몸에 붙는 펜슬스커트등 인기 <br>남성복-??은층도 '하이 2버튼' 선호 화려한 셔츠·폭넓은 넥타이

복고·클래식바람 "우아하고 기품있게" 여성복-치마 무릎덮을 정도 길어지고 몸에 붙는 펜슬스커트등 인기 남성복-??은층도 '하이 2버튼' 선호 화려한 셔츠·폭넓은 넥타이 계절의 흐름은 누구도 거스를 수 없는 것인가. 찌는 듯한 더위가 물러가고 어느새 가을이 성큼 다가왔다. 맹렬하게 울어대는 매미 보다는 저녁 무렵 들려오는 은은한 귀뚜라미 소리가 반갑고, 강렬한 여름 색상 보다는 따뜻하고 중후한 가을 색감에 더욱 눈이 가게 된다. 각 업체가 제안하는 가을 의류 경향에서도 복고풍의 성숙함을 강조한 게 눈에 띈다. 달도 차면 기우는지, 한층 꽃피웠던 캐주얼 경향이 잠시 주춤하고 격식을 반영하는 의상들이 자리를 넓혀가고 있다. ◇여성복 경향 = 올 가을 여성복은 1920~50년대의 영향을 받아 복고풍이 전면에 부각돼 있다. ‘레이디’라 불리는 우아하고 기품 있는 숙녀를 표현, 성숙함과 고급스러움을 강조한게 특징이다. 조이너스 디자인실 전미향 실장은 “복고무드가 지속돼 50년대의 절제된 여성미를 강조하고 있으며 어느 때보다 고급스러운 표현이 극치를 이룰 것”이라며 “치마 길이도 무릎을 덮을 정도로 길어졌고 몸에 달라붙는 펜슬스커트 등이 인기를 끌 것”이라고 말하였다. 우아함이 대세를 이루는 가운데 규칙적인 주름이 있는 플리츠 스커트나 연필처럼 홀쭉하게 달라붙는 펜슬 스커트(Pencil skirt) 등이 유행의 중심에 섰다. 플리츠 스커트에 니트 카디건이나 올 봄 이래 히트중인 볼레로 스타일의 짧은 카디간을 함께 입은 차림은 여러 업체로부터 낙점을 얻어낸 가을 아이템. 복고풍 꽃무늬 원피스나 손뜨개한 머플러, 오래 입어 낡은 듯한 청바지처럼 마치 할머니 옷장에서 찾아낸 듯한 의상도 인기다. 이른바 ‘로맨틱 빈티지’ 스타일로 옛스러움을 강조하면서도 우아한 자태를 잃지 않고 있다. 정장을 입는다면 손으로 뜬 듯한 자수와 비즈 같은 수공예적 장식으로 포인트를 줘 유행 경향을 살려본다. 낡은 듯한 스웨이드 스커트에 손뜨개한 것 같은 큰 목도리나 숄을 두르면 발랄함까지 얻을 수 있다. 소재로는 약간 거친 느낌의 트위드와 광택이 감도는 벨벳이 강세다. 올 여름을 수놓았던 꽃무늬는 복고적 분위기가 반영돼 대체로 작아졌고 색이 바랜 듯 표현됐다. 체크 무늬 가 ‘가을 전령사’로 떠오른 가운데 보라빛과 붉은 포도주색을 나타내는 ‘버건디’ 색상이 패션에 민감한 이들의 시선을 사로잡고 있다. ◇남성 정장 = 남성 정장은 한동안 지속됐던 캐주얼화 경향을 버리고 격식있는 ‘클래식’함을 택한 게 특징이다. 특히 ‘영국풍’이 크게 인기를 얻으며 깊이감이 느껴지는 의상들이 주류를 이루게 됐다. 가을 남성 정장에서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다름아닌 단추 숫자. 올 봄에는 3버튼 정장이 강세였으나 가을 들어 1버튼, 2버튼 정장 등 더욱 다양한 유형이 출시됐다. 제일모직의 경우 2버튼과 3버튼의 물량 비율이 지난해 가을에는 55대 45였으나 올 가을에는 60대 40으로 나타나 2버튼의 역전이 확연히 드러난다. 2버튼이 중년 남성의 전유물이라는 공식이 깨어진 까닭인데 젊은 남성들은 같은 2버튼이지만 단추가 높이 달린 ‘하이(High) 2버튼’ 의상으로 유행 경향을 소화하고 있다. ‘하이 2버튼’은 일반적인 2버튼 정장과는 달리 몸에 확연히 달라붙고 목 부분도 깊게 파져 세련된 느낌을 준다. 또 허리선이 부드럽게 피트돼 격식 있는 자리에 넥타이를 매지 않고 참석하기에도 적당하다. 앞섬에 가로로 단추를 두 개 다는 더블 버튼 수트도 본격적으로 출시됐다. 자로 잰 듯한 각진 어깨로 대표되는 딱딱한 스타일이 아니라 어깨선과 허리선이 부드럽게 달라붙는 양식으로 다듬어졌다. 스트라이프 정장의 인기도 여전하다. 스트라이프와 민무늬의 정장의 생산 비중은 8:2 정도로 여전히 스트라이프 정장이 대세다. 셔츠 무늬는 더욱 화려해지고 강렬해진 게 특징인데 기존에는 셔츠와 자켓 중 한 쪽이 줄무늬라면 다른 한 쪽은 무늬 없이 입었지만 올 가을에는 스트라이프 셔츠에 스트라이프 정장을 함께 입는 코디도 대중화되고 있다. 넥타이는 클래식 스타일의 영향으로 폭이 조금씩 넓어진다. 멀티 스트라이프와 사선 무늬가 유행이고 영국풍의 부상과 함께 잔잔한 무늬가 반복되는 올오버 패턴 넥타이도 인기를 끌고 있다. 컬러는 갈색 색상의 강세가 눈에 띄는 가운데 회색이 여러 색상과 결합해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색상 등이 유행이다. 또한 깊이감을 좀 더 젊게 해석할 수 있는 블랙 색상도 부각돼 있다. 소재는 광택감이 느껴지는 것이 트렌드로 일반양모보다 부드럽고 광택이 나는 캐시미어, 알파카, 비큐나 등 특수 고급 모 소재가 두루 사용했다. 김희원 기자 heewk@sed.co.kr 입력시간 : 2004-08-19 19:50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