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상아탑 비리' 87명 사법처리

교수비리 59명 최다… 검찰, 30명은 구속

검찰의 대학비리 일제 단속에서 대학 총학장 등 모두 87명이 사법처리되고 30명이 구속기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검 중수부는 28일 지난해 1월부터 올해 8월까지 전국의 일선지검에서 진행된 교수채용 비리, 학위 부정수여, 공금 및 연구비 횡령 등 대학비리 수사 결과를 취합, 이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검찰에 따르면 지난 20개월간 검찰이 사법처리한 대학 관계자 87명 중 국ㆍ공립대 관계자는 26명인 반면 사립대 관계자는 61명에 달했다. 사법처리 대상자의 신분별로는 ▦총학장ㆍ이사장 4명 ▦교수 59명 ▦교직원 2명 ▦기타 22명 등으로 나타났다. 검찰에 적발된 대표적인 비리 유형은 이른바 ‘채용장사’. 아시아대학교에서는 총장 등이 2002년 6월∼2003년 12월까지 교수 채용 명목으로 42명에게서 무려 39억8,000만원을 받은 혐의가 적발됐다. 전남대는 전임강사를 채용하면서 시간강사 등 8명으로부터 5,300만원을 받은 사실이 드러났다. 개업의사의 수업 불출석을 눈감아주고 실험 및 논문작성을 대행하는 대가로 26명에게서 3억6,700만원을 받은 원광대 교수가 구속되는 등 전북지역 의대교수 29명이 사법처리돼 학위수여 관련 비리도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경기대 손모 총장 등 2명이 1억원을 받고 교수를 채용하고 대학 교비 78억원을 횡령한 혐의로 사법처리 되는 등 대학교 이사장ㆍ총장 등 대학재단 관계자가 대학 공금을 횡령하는 식의 고질적 비리 역시 상당수 적발됐다. 민유태 대검 중수부 수사기획관은 “앞으로 교수 채용비리ㆍ공금횡령ㆍ학위부정수여ㆍ연구비 횡령을 4대 대학비리로 지정, 특별단속을 벌여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