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꿈의 신소재 그래핀 열전도율 제어 성공

표준연 양자측정센터 배명호 박사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양자측정센터 배명호 박사가 포함된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교 연구팀이 그래핀의 열전도율을 제어에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그래핀은 탄소 원자들이 벌집처럼 육각형으로 연결된 얇은 판 형태의 물질로 열전도율과 전기전도율이 높아 전자정보 산업분야 차세대 신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연구팀은 그래핀의 두께가 0.35nm(나노미터, 1 nm=10억분의 1 m)로 매우 얇기 때문에 열ㆍ전기전도율 등 고유한 특성들이 주변 환경에 따라 민감하게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이용, 그래핀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열전도율 제어가 가능하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밝혀냈다.

관련기사



연구팀은 기판위의 그래핀 폭을 300nm에서 65nm정도로 줄여 측정한 결과 일반적으로 알려진 값보다 열전도율이 수십 배 이상 감소하는 것을 발견했다. 그래핀 폭 설정을 달리함으로써 열전도율을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배명호 박사는 “그래핀의 열전도율 제어가 가능함에 따라 이에 대한 활용도는 획기적으로 넓어질 수 있다”며 “열을 보관해야 하는 단열재나 버려지는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열전발전기 등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



구본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