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구미공단처럼 오래된 산업단지의 경우 더욱 철저한 안전관리와 사고방지를 위한 대안 마련이 중요한데도 산단공이 이같은 관리 의무를 소홀히 했다는 비판이 공단 안팎에서 높아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구미공단 등을 조성, 분양한 산단공이 시설 노후화에 따라 생기는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 공단 리모델링과 안전관리 등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산단공측은 개별 기업의 화학물품 관리감독은 환경부나 해당구청 소관이라며 여전히 뒷짐을 지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산단공에서는 비상안전계획실을 운영하고 있지만 사고 발생시 입주기업에 위험사항을 알리는 전파업무 이외에 특별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 산단공 관계자는 “평상시 업체들에게 안전홍보와 캠페인을 실시하는 것이 주된 업무”라며 “산업재해 관련해서는 환경부나 다른 기관들이 관리감독 권한을 갖고 있다”고 해명했다. 또 “공단 내 업종 구분이나 입주기업의 고용현황 등은 파악이 가능하지만 이외의 관리에 대해서 파악이 어렵다”며 “화학물품 등록이나 관리는 해당구청 소관”이라고 발뺌했다.
구미공단에서는 지난해 9월 불산가스가 누출된 이후 6개월 사이에 네 차례의 화학물질 사고가 발생했다. 지난 5일 구미케미칼에서 액체상태인 염소가 기화하면서 염소가스가 유출돼 인근 공장 근로자 180여명이 호흡곤란 증세를 보였다. 지난 2일에는 LG실트론에서 화학물질이 누출됐고, 지난해 9월에는 불산 20톤이 누출돼 5명이 목숨을 잃고 주민 1만2,000명이 병원을 찾는 등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이에더해 지난 7일에는 유류저장탱크가 폭발해 기름 4,000L에 불이 붙는 사고도 발생했다. 폭발한 탱크는 지난 1999년 11월 이후 단 한 번도 정밀 안전 점검을 받아 관리 부실 논란을 낳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