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수능 부정 141명 전원 재소환"

경찰, 학부모 개입등 3대 의혹 조사키로<br>陳정통 "부정 가능성 9월에 들었다" 발언 논란

2005학년도 수능시험 휴대폰 부정행위 사건을 수사 중인 광주 동부경찰서는 24일 추가 가담자의 존재와 ‘커닝 대물림’, 학부모 개입 등 3대 의혹에 대한 해명을 위해 가담자 141명 전원을 다시 소환해 조사하기로 했다. 경찰은 이에 따라 돈을 주고 모법답안을 받은 ‘부정응시자’ 8명과 ‘후배 중계자’를 관리했던 대학생 7명을 이날 재소환했으나 ‘커닝 대물림’ 등 핵심의혹을 모두 부정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앞으로 학부모도 소환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또 경찰은 이번 사건을 주도한 광주 C고 양모(18)군 등 6명을 영장실질심사를 거쳐 이날 구속했다. 광주 남부경찰서는 인터넷 채팅을 통해 만난 삼수생 주모(20ㆍ여)씨로부터 620만원을 받고 수능 대리시험을 치른 김모(23ㆍ서울 S여대 제적)씨가 자수해옴에 따라 임의동행 형식으로 조사하고 있다. 광주시교육청이 수능 10여일 전인 지난 6일부터 매일 인터넷 홈페이지에 올라온 수능 부정행위에 대한 수험생들의 절박한 경고와 제보 내용 등 20여건을 ‘허위사실 유포’라며 모두 삭제했지만 그 내용이 대부분 경찰의 수사결과와 거의 일치한 것으로 드러났다. 최기문 경찰청장은 이날 전국 지방경찰청에 부정행위와 관련된 각종 루머를 확인하도록 특별지시했으며 서울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는 인터넷 포털사이트 ‘수능연구모임’에 ‘올해 수능 시험지ㆍ정답지를 입수해 판매한다’는 광고 2건이 오른 데 대해 수사에 착수했다. 한편 진대제 정보통신부 장관은 9월 이미 수능 부정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를 들었다고 말했다가 파문이 확산되자 이를 번복, 논란이 일고 있다. 진 장관은 24일 교통방송과의 전화대담 프로그램에서 “9월 수능 부정이 있을 수 있다는 얘기를 들었다”며 “그러나 이렇게까지 문제가 확대될 줄은 미처 생각지 못했다”고 말했다. 진 장관의 이 같은 발언이 사실일 경우 정통부와 교육부 등 관계 부처가 휴대전화에 의한 수능부정 행위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을 사전 인지하고도 대응에 소홀했음을 시사하는 것이어서 파문이 예상된다. 李총리, 철저조사 지시
이해찬 국무총리가 "대학입시 수능시험 부정에 대해 철저하게 조사해 밝히라"고 최기문 경찰청장에게 지시했다. 24일 총리실에 따르면 이 총리는 이날 열린 간부 간담회에서 수능시험에서 휴대폰을 이용한 답안 전송, 대리시험 등 광범위한 부정행위가 드러난 데 대해 우려를 표명하면서 이같이 지시했다. 이 총리는 또 이번 사건을 계기로 교육인적자원부가 전문가의 의견을 검토해 근본적인 수능시험 관리방안을 마련하도록 안병영 교육부총리에게 당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