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성장기 아동 33% 인위적 키 관리

성장기 아동 10명 중 3명 이상이 키를 키우려고 인위적인 성장관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박미정 상계백병원 성장클리닉 교수팀이 대한소아과학회지 최근호에 게재한 논문에 따르면 성장클리닉을 방문한 아동 823명(남 416명, 여 407명)을 대상으로 ‘인위적 성장 관리실태’ 조사 결과 키를 크게 하기 위해 인위적 관리를 한 경우가 전체의 33.4%에 달했다. 키를 크게 하려는 방법으로는 한의원에서 성장 촉진 한약을 먹거나 성장보조약을 복용한 경우가 각각 37.8%로 가장 많았다. 반면 성장호르몬 치료를 받은 경우는 2.9%에 그쳤다. 영양제나 건강보조식품을 섭취한 아이 중에는 종합비타민ㆍ무기질제가 32.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영양제와 생약성분의 성장보조제(23.9%), 단일 칼슘제(19.1%), 클로렐라(7.7%), 초유(6.7%) 등이 뒤를 이었다. 부모가 자녀의 키에 대해 고민을 시작한 나이는 평균 7.7세였으며 키 성장을 위해 인위적 관리를 시작한 평균연령은 한약이 8.9세로 가장 빨랐다. 이어 성장보조제(9.1세), 운동ㆍ기구(9.4세), 병원치료(9.9세) 등으로 맨 마지막에 병원치료를 선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성장클리닉을 찾은 아동의 평균연령은 만 10.4세로 집계됐다. 키 관리를 하게 된 동기로는 친지의 권유가 36%로 가장 많았으며 인터넷 및 언론광고 28.4%, 약국에서의 권유 16.8%, 병원 의사의 권유 5.5% 등으로 집계됐다. 박 교수는 논문에서 “상당수의 아이들이 키를 키우기 위한 인위적 관리를 받고 있었지만 효과에 대한 만족도는 높지 않았다”며 “향후 여러 성장촉진 보조요법에 대한 객관적 비교분석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