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정보보안 전문가 취업길 넓다

기업 정보유출 사고 늘어 SIS자격증등 먼저 갖춰야


컴퓨터 해킹과 바이러스 유포, 개인ㆍ기업의 정보유출 등이 늘면서 정보보안 전문가 수요가 늘고 있다. 유망직종으로 각광 받고 있지만 국내외에서 정보보안 전문가는 수요에 비해 인력이 부족한 상태다. 인크루트의 도움으로 어떤 자격증을 취득하고 어떤 경력을 쌓아 정보보안 전문가에 도전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정보보안 전문가는 해커의 침입과 각종 바이러스 발생에 대비, 보안 이론과 실무 보안 정책 능력을 갖춰 전산망 보안 및 유지와 컨설팅을 담당한다. 또 정보시스템과 정보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보안정책을 수립하고, 정보보안에 대한 예방책을 세우고 시스템에 대한 접근 및 운영을 통제하며, 침입 발생시 즉각적으로 대응하고 손상된 시스템을 복구하는 업무도 이들의 몫이다. 정보보안 전문가가 되려면 정보기술(IT)에 대한 지식은 기본이며 경제와 산업에 대한 거시적 안목과 감각까지 겸비해야 한다. 특히 전문적인 침입자에 대응하고 시스템을 복구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시스템 전반에 걸친 넓고 깊은 지식이 필요하다. 기본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의 하드웨어와 운영체제, 네트워크에 대한 지식은 물론 프로그래밍과 데이터베이스, 바이러스, 크래킹 기술 등 컴퓨터 시스템 전반에 대해 넓고 깊게 알고 있어야 한다. 정보보호 기술은 시스템과 네트워크 기술에 그 기초를 두고 있기 때문에 운영 체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관리, C언어,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해커들의 해킹 기법과 바이러스에 대한 지식도 필수적이다. 특히 역으로 얼마든지 정보시스템을 유린할 수 있기 때문에 윤리성도 주요 요건으로 꼽힌다. 정보보호 분야에서 3년 이상 경력을 쌓아야 응시할 수 있는 ▦국제공인정보시스템보안전문가 자격증(CISSP)과 최소 5년 이상 경력을 요하는 ▦보안전문가 자격증(CISA)은 국제적으로 권위를 인정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국내에서 개발한 ▦정보보호전문가(SIS) ▦정보시스템감리사 ▦인터넷보안전문가 등에 먼저 도전한 뒤 실무경력을 쌓으라고 조언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