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과학비즈벨트 '제2 세종시' 되나

당내 논란 불거지자 대전行 연기 충청권의 관심사인 과학비지스니스벨트(과학벨트)의 입지 선정 문제를 놓고 한나라당 내부에서 엇박자 행보를 보이고 있다. 나경원, 정두언, 서병수, 박성효 최고위원은 최근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를 주장하고 나섰으나 김무성 원내대표와 홍준표 최고위원 등은 과학벨트 문제를 정치권이 공개 거론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입장이다. 정 최고위원 등은 과학벨트의 충청권 유치는 대통령의 대선공약이었던 만큼 당이 문제를 주도적으로 해결해 충청권 민심을 잡자고 주장하지만 김 원내대표 등은 당이 섣불리 과학벨트를 공론화하면 오히려 지역갈등을 조장한다며 맞서고 있다. 정부는 충청권도 다른 후보지와 마찬가지로 법적 절차를 밟아 최적의 과학벨트 입지를 선정하겠다는 원칙론을 고수하고 있어 과학벨트 유치를 둘러싼 지역간 논란은 격화되고 있다. 충청 민심을 잡겠다며 19일 예정한 당지도부의 대전방문 일정도 연기됐다. 안상수 대표는 18일 과학벨트 문제에 대한 당정간 최종조율이 이뤄지지 않은 만큼 대전 방문을 연기하겠다고 다른 최고위원들에게 통보했다. 과학벨트 문제를 매듭짓지 않은 상태에서 대전을 방문해 봐야 민심의 비난만 들을 뿐이라는 내부 지적에 의한 결정이다. 이에 과학벨트의 충청권 유치를 강조해온 최고위원들은 불만을 터트렸다. 한 최고위원은 “이대로 가면 충청서 또 욕만 먹고 충청은 호남화된다”고 우려했고 또 다른 당직자는 “민감한 사안을 접하면서 안 대표가 일부 최고위원의 말만 듣고 즉흥적으로 대전행을 정했다 철회하면서 당만 꼴이 우습게 됐다”고 꼬집었다. 한편 정두언 최고위원은 이날 국회에서 ‘과학벨트 어디로 가야 하나’ 토론회를 열었다. 정 최고위원은 “세종시가 자족기능이 없는 유령도시로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과학벨트는 세종시로 가야 한다 “고 주장했다. 그는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자족기능이 없는 세종시 문제가 다시 떠오를 수밖에 없으며, 여야는 물론 온 나라가 몸살을 앓을 것”이라며 “과학벨트가 세종시로 가면 모든 문제가 끝나고 선거 논란도 없어진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