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컨트리리스크 부각 해외보다 더 추락

'위기경제' 실질적 처방없이 개혁강조<BR> 증시 참여자들 '2기 참여정부' 불신 불러

컨트리리스크 부각 해외보다 더 추락 '위기경제' 실질적 처방없이 개혁강조 증시 참여자들 '2기 참여정부' 불신 불러 금융시장이 ‘트리플 쇼크’(중국 긴축정책, 미국 금리인상, 고유가)에 이어 컨트리 리스크(국가위험도)라는 새로운 악재 부상으로 추락했다. 또 헌법재판소의 대통령 탄핵 기각 결정 이후 노무현 대통령의 2기 참여정부 정책방향에 대한 우려감도 겹치면서 바닥을 찾기 힘든 나락으로 내려가기 시작했다. 대다수 경제 전문가들은 노무현 정부가 붕괴 위기에 직면한 한국경제를 회생시킬 실질적인 대응책을 내놓는 대신 개혁을 통한 성장정책에 무게중심을 실어준 것에 대해 깊이 우려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한결같이 “한국증시가 매수주체 실종 속에 주가지수 600선마저 위협받고 있다”며 “정치적 불확실성이 시장을 뒤흔드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 한국증시는 사실상 공황 = “아무런 할 말이 없다.” 17일 한국증시의 붕괴를 바라보는 전문가들의 시선에서 무기력감이 잔뜩 배어 있다. 이춘수 대한투신 주식운용본부장은 “사실상 시장 분위기가 꽁꽁 얼어붙어 누구도 매수할 엄두가 나지 않는 상황”이라며 “각종 악재가 있고 주식 반등을 이끌 만한 긍정적인 요인이 부각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날 주식시장은 유가 고공행진 속에 노 대통령의 경제위기 과장 발언 파문 등이 겹치며 투자심리가 꽁꽁 얼어붙어 전 거래일보다 5.14% 하락했다. 지난달 23일 936.06포인트에서 한달도 못돼 200포인트 이상 밀리며 시가총액은 88조원 이상 사라졌다. 사실상 증시는 공황상태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날 거래소시장에서는 기계적인 매매인 프로그램 매수세 외 개인ㆍ외국인ㆍ기관투자가 모두 매도 공세를 퍼부었다. 상승세로 돌아설 만한 마땅한 재료가 없는 탓에 매수세력이 실종된 셈이다. ◇ “2기 참여정부 못 믿겠다” = 한 외국계 증권사 사장은 “노 대통령 복권 이후 정부의 새 정책방향에 실망을 금할 수 없다”며 발등에 떨어진 불을 끄려는 노력보다는 성장ㆍ분배 논쟁만 재현하려는 정부의 안일함을 꼬집었다. 증시 및 경제 전반에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정부 당국에서는 뾰족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 외국계 증권사 딜러는 “정부가 10년 뒤 한국경제를 생각하는 정책을 편다고 하는데 그동안 증시는 붕괴되는 것을 지켜만 보겠다는 것이냐”며 볼멘소리를 냈다. 이승국 BNP파리바페레그린증권 사장은 “위기에 대한 이렇다 할 대응반응이 없다는 점을 증시에서는 오히려 악재로 받아들였다”고 지적했다. 정택욱 현대증권 상무는 “기업 실적 등 경제여건만을 가지고 최근 주가하락을 설명하기는 불가능하다”며 사실상 최근 주가하락의 배경으로 수급요인과 함께 정치적 불확실성을 지목했다. ◇복합병의 치유책을 찾아라 = 한국증시에 낙관론을 펼쳤던 외국계 증권사들도 한국증시 붕괴를 경고하는 목소리로 바뀌고 있다. 벤 러드 ABN암로 아시아ㆍ태평양 담당 투자전략가는 지난 13일 한국증시가 600선까지 떨어질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중국경기 둔화와 글로벌 경기 선행지수가 고점을 쳤다는 점이 표면적인 이유였지만 배경에는 노동시장 경직성에 대한 우려 등 한국의 정책불안 등이 자리잡고 있다. 러드의 한국증시 경고 사인이 지난달 28일 민노당을 방문한 후 이뤄졌다는 점에서 한국 노동시장에 대한 외국인 투자가의 노파심을 반영한 것이라는 해석이다. 전문가들은 먹구름이 드리운 한국 경제의 치유 방안으로 불확실성 해소를 가장 먼저 꼽고 있다. 정의석 굿모닝신한증권 투자분석부 부장은 "구체적인 행동은 없고 탁상곤론(卓上空論)만 반복하는 정책 당국이 오히려 증시의 불안을 조장하고 있는 셈"이라며 "성장ㆍ분배 논란으로 허송세월 하지말고 어떤 정책이든 빨리 방향을 결정하고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고 주문했다. 단적인 예로 이라크 추가 파병 문제의 경우 국민 여론을 존중하는 것도 무시할 수 없지만 국익에 도움이 되는 것이 무엇인지 판단해 빨리 매듭을 지워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밖에 정부가 내수 소비를 활성화할 수 있는 정책과 기업이 투자를 촉진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을 입을 모았다. 홍병문기자 hbm@sed.co.kr 입력시간 : 2004-05-17 18:58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