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통업계의 최대 이슈인 인천공항 면세사업자 선정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12개 권역 중 4개 권역을 할당 받은 중소·중견기업들이 무더기로 입찰을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다음달 출범을 앞둔 3기 면세점의 일정에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10일 면세업계에 따르면 인천국제공항공사가 대기업 독점을 해소한다는 취지로 종전 대기업의 영업구역을 쪼개 중소·중견기업에 4개 사업권을 배정, 입찰을 진행했으나 지난 5일 입찰의향서와 사업계획서까지 제출했던 6개 기업 중 대부분이 DF 9·10·12권역에 대한 입찰보증금을 납부하지 않아 유찰됐다. 현재로서는 하나투어 컨소시엄과 시티플러스 등이 참여한 11구역에서만 낙찰자가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유찰된 3개 구역은 인천공항공사가 입찰보증금을 낮춰 재입찰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된다.
당초 인천공항공사는 여객터미널과 탑승동 면세매장(총 1만7,394㎡)을 총 12개 사업권으로 나눠 대기업 8개, 중소·중견기업 4개를 배정했다. 낙찰자는 면세점 운영경험, 마케팅, 상품구성을 포함한 종합평가 방식(사업제안서 60%·입찰가격 40%)으로 선정할 방침이었다.
기업들이 뒤늦게 입찰보증금을 포기한 데는 높은 보증금을 비롯해 수익을 낼 수 없는 구조라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공항공사가 12개 사업권에서 챙길 연 임대료 등 최소 입찰금액은 7,080억원가량. 이 가운데 잡화·화장품 매장인 9·10구역의 최소 입찰가는 각각 200억원·159억원이고 화장품 전문 구역인 11구역은 150억원, 술·담배 전문인 12구역은 50억원에 달한다.
중소·중견기업에 할당된 최소 입찰가가 대기업의 40% 수준이라고 공사 측이 밝혔지만 실상을 따져보면 20% 정도에 불과하다는 게 업체 측의 설명이다. 입찰을 포기한 한 중소업체의 관계자는 "입찰할 때는 최소 금액 이상을 써내야 하고 임대료보다 영업료율이 높을 경우 추가로 또 더 내야 하는 약관이 있어 도저히 수익을 낼 수 없는 구조"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입찰에 성공하더라도 적자가 불 보듯 뻔하다는 판단도 뒤늦게 작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에 입찰에 참여한 대기업의 경우 시내 면세점을 운영해 인천공항의 적자를 메울 수 있지만 중소·중견기업들은 심각한 적자가 우려된다는 것이다. 특히 오는 2017년 터미널2가 새로 추가되면 수요가 3분의1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데도 내년부터 무조건 임대료를 2% 인상해야 해 적자행진은 계속될 것이라는 계산이다. 입찰을 포기한 또 다른 중소기업의 한 관계자는 "지방 면세사업자의 성패가 브랜드 유치에 달린 것처럼 브랜드 구성이 관건인데 대기업의 방해로 입점하려는 브랜드가 많지 않았다"면서 "인테리어 비용, 직원 파견 등도 모두 우리 몫이어서 남는 게 없다는 판단에 따라 입찰을 포기했다"고 털어놓았다.
대기업 영업구역을 쪼개 중소·중견기업에 배정하면서 영업면적이 줄어들어 사업권 확보에 사활을 건 대기업들도 당황스럽다는 표정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면세시장의 실정을 고려하지 않고 탁상공론적인 정부의 방침이 이 같은 일을 초래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인천공항공사는 11일 대기업 사업권 8개와 중소·중견기업의 11구역 사업권 등 9개 사업권에 대한 최종 낙찰자를 발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