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건설사, 공공택지 확보경쟁 후끈

수도권 택지고갈속 재건축·재개발도 막혀<br>매입비 2년 묶여 부채비율 악화등 단점불구<br>인천 청라 186대1·평택 청북 139대1 달해


“요즘에는 말 그대로 땅 한 평이 아쉬운 거죠.” 지난 14일 인천 청라지구의 공동주택지 청약경쟁률이 사상 최고치인 186대1까지 치솟자 한 중견 건설업체 관계자가 내뱉은 말이다. 또다른 중견업체 관계자는 “도심지 등 사업할 땅이 많았던 수년 전만 해도 공공이 개발하는 택지지구 땅은 잘 쳐다보지도 않았다”며 “오죽 일감이 없으면 택지지구 필지 하나에 벌떼처럼 몰려들겠느냐”고 말했다. 15일 한국토지공사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주택업체들의 수도권 공공택지 확보 경쟁이 유례를 찾기 힘들 만큼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분양가상한제의 전면 확대와 수도권 택지고갈, 재건축ㆍ재개발 시장 침체 등으로 치열한 생존경쟁에 내몰린 주택업계의 속사정을 보여주는 현상이다. 토공이 8개 블록을 입찰에 부친 이번 청라지구 3차 공급분 공동주택지의 경우 모두 수십대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전용면적 85㎡ 이하의 유일한 중소형 주택용지였던 34블록에는 무려 186개 업체가 신청, 지난해 9월 용인 흥덕지구에서 세워졌던 179대1의 최고 경쟁률 기록을 경신했다. 85㎡ 초과 중대형 주택용지 7개 블록에도 총 232개 업체가 입찰에 참가해 경쟁률이 평균 33.1대1에 달했다. 청라ㆍ흥덕지구 등 알짜 택지에 비해 인기가 다소 떨어지는 수도권 택지지구들도 상황은 비슷하다. 지난해 9월 분양됐던 평택 청북지구의 중대형 주택용지 역시 최고 경쟁률이 139대1이었고 11월의 남양주 별내지구는 최고 83대1을 기록했다. 같은 달 청라지구 2차 공급분 역시 최고 142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건설업체 입장에서 보면 공공 택지지구 참여가 안정적 일감을 보장해주긴 하지만 단점도 분명히 있다. 자체 사업과 달리 주택건설 과정에서 이런저런 제약이 존재하는데다 수백억원대의 택지매입비용이 2년 정도 묶여 부채비율 등에도 악영향을 준다. 재무건전성이 악화되면 자칫 관급공사 등을 수주할 때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다. 지금까지 분양가상한제가 공공택지에만 적용됐던 탓에 뚜렷한 분양수익을 남기기도 힘든 형편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점점 심화되는 수도권의 택지난과 꽉 막혀버린 재개발ㆍ재건축 시장, 민간 분양가상한제 및 원가공개 등 사면초가에 빠진 업체들에는 공공택지가 그나마 유일하게 매달릴 만한 ‘동아줄’이 됐다는 설명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