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日교과서 왜곡..한일 외교 전면전으로 확대

이슬라마바드 한일외교장관회담 '공방' 예상

일본 정부가 왜곡교과서시정 요구를 사실상 `묵살'하고 나선데 대해 우리 정부가 국제무대에서 이를 정식으로 문제삼고 국제연대를 본격화하고 나서는 등 한일 양국간 전면 외교전으로 확대되고 있다. 반기문(潘基文) 외교통상부 장관도 7일 오전 10시 30분(현지시간)으로 예정된 이슬라마바드 한일외교장관회담에서 마치무라 노부타카(町村信孝) 일본 외상에게 교과서 왜곡에 대해 강력한 항의와 유감을 전할 방침이어서 공방이 예상된다. 그런 가운데 일본의 가장 자극적인 왜곡인 `독도는 일본 땅' 주장이 기존 후소샤판 등 3종 공민교과서 외에 다른 출판사로도 추가 기술될 조짐이어서 교과서 왜곡을 둘러싼 한일 양국간 분쟁은 확산일로의 형국이다. 일본내 현지 언론은 독도 관련 기술을 하지 않은 공민교과서와 일부 지리교과서가 이달 말로 예정된 `자주 정정(訂正)' 기간에 독도 기술을 포함시키려 한다고 7일보도했다. 정부 당국자는 7일 "추가기술이 이뤄진다고 하더라도 지금으로선 추가 대응할필요가 없다고 본다"며 "독도 영유권 주장등의 왜곡은 식민지 침탈행위를 되풀이하는 것으로 여전히 과거를 반성못하는 작태라고 공세를 가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특히 "국제무대에서 일본 정부의 왜곡행위를 적극적으로 알리는 장기전으로 갈 수 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정부는 식민지배의 뼈아픈 경험을 한 국가들과의 연대를 통해 일본의 왜곡 작태를 홍보한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이달로 예정된 아시아.아프리카 회의와유네스코(UNESCO) 집행이사회를 적극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또 유엔 인권위에서 군 위안부 문제 등의 역사왜곡을 집중 부각시키고 있다. 그 일환으로 최 혁 주 제네바 대표부 대사는 6일 속개된 제61차 유엔 인권위 기조연설에서 2차대전 중 일본군에 의한 위안부의 강제동원을 언급하며, 일본이 한민족에게 저지른 엄청난 고통에 대한 책임을 한사코 부인하는 것에 대해 한국 정부는 심각한 우려와 유감을 표명한다고 포문을 열었다. 최 대사는 이어 "일본이 과거의 잘못으로부터 교훈을 얻지 못한다면 어두운 역사는 되풀이될 수 밖에 없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반 장관도 한일외교장관 회담에서 일본 시마네(島根)현의 `다케시마(독도의 일본식 이름)의 날' 조례 제정에서부터 시작된 일본의 한반도 침탈 움직임에 강력히경고하고 일부 공민교과서의 `독도는 일본 땅' 기술에 대해 일본 정부가 개입한 의혹이 있다며 집중적으로 따져 묻고 문제의 기술을 즉각 삭제할 것을 촉구할 예정이다. 정부는 특히 교과서 왜곡과 관련해서는 채택작업이 완료되는 올 8월까지는 일본내의 양심적인 지식인과 시민단체들과 연계를 강화해 불채택 운동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민단 중앙본부와 협력하고 한일 교직원단체의 연대, 자매결연 도시및 학교에 서신보내기 운동 등을 구체화하고 있다. 정부는 교과서 채택작업 완료 이후에는 제2기 한일역사공동위원회 운영을 통해중장기적 개선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며 국내적으로 교육과정 개정시 역사교육 강화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서울.이슬라마바드=연합뉴스) 인교준.이상헌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