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도심 진입 교차로 봉쇄 … 항공·증시마비 땐 대혼란

■ 태국 방콕 셧다운 시위 돌입

일부 회사 휴업·학교 휴교

잉락 총리 사퇴 않을 땐 주식거래소 등 점거 공언

정부는 강경대응 자제… 피해 최소화에 안간힘


태국 반정부시위대가 공언한 대로 13일 1,200만명이 거주하는 수도 방콕의 기능을 마비시키는 셧다운 시위에 돌입했다. 시위대는 방콕 도심으로 진입하는 교차로 6곳을 봉쇄한 데 이어 잉락 친나왓 총리가 사퇴하지 않을 경우 항공 시스템을 마비시키고 주식거래소도 점거하겠다고 공언해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13일(현지시간) 방콕포스트·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수텝 트악수반 전 부총리가 이끄는 반정부시위대는 일요일인 지난 12일 저녁8시부터 방콕 도심으로 향하는 6개 교차로를 샌드백과 대형차량 등으로 봉쇄한 후 연좌시위를 벌였다. 이에 13일 이 지역 통근자들은 버스나 도시철도·유람선 등으로 출근했다고 WSJ가 전했다. 이날 방콕 시내의 일부 회사가 휴업했고 140여곳의 학교도 휴교했으며 대학 수업도 연기됐다.


이날 반정부시위대는 잉락 총리가 사퇴하지 않을 경우 태국 내 유일한 항공무선국을 폐쇄하고 주식거래소도 점거하겠다고 경고했다. 항공무선국이 폐쇄되면 태국과 국제사회 간 교류가 차단돼 관광객의 왕래는 물론 수출입에도 큰 차질이 예상된다. 또 주식거래소가 시위대의 점거로 마비될 경우 흔들리고 있는 태국 금융시장이 크게 출렁일 가능성이 높다. 이날 태국 주식거래소 측은 대다수 직원들에게 재택근무를 지시했다.

방콕 셧다운으로 인한 인명·물리적 피해도 속출하고 있다. 11일 방콕 시내에서 무장괴한이 반정부시위대에게 총을 난사해 7명이 사상한 데 이어 12일 밤에도 반정부시위 현장에서 한 시민이 총에 맞아 병원에 후송됐다고 AP통신이 전했다. 13일에도 반정부시위대의 전신인 제1야당 민주당 당사에 총알 10발이 날아들어 유리창이 파손됐다.


현재 정부 측은 시위대에 대한 강경대응을 자제하고 피해규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노동부 장관인 찰럼 유밤룽은 12일 "정부는 강경진압을 하지 않을 것"이라며 "2010년과 같은 대규모 유혈사태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2010년에도 태국에서는 반정부시위가 일어나 90여명이 사망했다. 외무장관인 수라뽕 또위착차위꿀도 "시위대와 충돌하지 않겠다. 일부 지역에서는 시위대가 정부 건물로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WSJ는 정부가 총 1만8,000명의 군경을 투입해 시민 안전을 보장하는 조치를 취했고 또 방콕 시내 대형 쇼핑몰과 호텔 등에 콜센터와 헬프데스크 등을 마련해 관광객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고 전했다.

다만 시위대가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정부가 언제까지 온건한 대응을 이어갈지는 미지수다. 12일 반정부시위대의 수텝 전 총리는 지지자들이 모인 자리에서 "이번 싸움에서 지면 지는 것이고 이기면 이기는 것이지 무승부는 없다"고 강조했다. AP통신은 수주 혹은 그 이상까지 시위가 계속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WSJ는 반정부 성향이 강한 지방에서 2월2일 치러질 조기총선 입후보자가 등록되지 않아 조기총선 실시에 빨간불이 들어왔다고 보도했다.

태국 선거법에 따르면 총선 입후보자는 이달 1일까지 후보등록을 했어야 했는데 총 28개 지역구에서 반정부시위대의 방해로 입후보자가 등록되지 않았다. 이는 하원의석 중 95% 이상의 선거구에서 입후보자의 등록이 완료돼야만 선거가 유효하다는 태국 헌법에 위배된다.

이에 독립기구인 태국선거관리위원회는 12일 정부에 선거연기를 권유했다. 이에 대해 정부 측은 선관위에 본연의 임무를 착실히 수행하라며 선거를 예정대로 실시하라고 반박해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