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건설공제조합 "선제적 위기대응 방안 마련"

송용찬 이사장 "보증금 대지급 급격히 늘어… 건설사 신용등급 재조정 등 검토"


“최근 건설사 부도에 따른 건설공제조합의 보증금 대(代)지급 규모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어 유동성 확보 등 선제적 위기대응 방안을 마련해나갈 계획입니다.” 건설 보증기관인 건설공제조합이 전방위적인 ‘위기상황 대응계획’ 마련에 나섰다. 송용찬(56ㆍ사진) 건설공제조합 이사장은 “보증금 대지급 규모에 따라 단계적 대응계획을 마련 중”이라고 14일 밝혔다. 송 이사장은 “올들어 신성건설 등 중견건설사의 부실화로 조합이 보증한 공사 보증금 대지급 금액이 급증하고 있다”며 “철저한 경영관리를 통해 어려움을 극복해나가기 위해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조합측은 보증 대지급 예상금액에 따라 총 4단계로 위기단계 지표를 설정해 ▦조합원 신용관리 강화 ▦보증심사 및 담보 강화 ▦보증한도 축소 ▦보증사후관리 강화 등 다각적인 실행계획을 마련했다. 송 이사장은 “건설업계의 어려움에도 조합이 제도 강화에만 신경쓴다는 지적이 있는 게 사실”이라며 “하지만 조합이 부실화하면 업계 전체가 위험에 빠질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조합 측은 민간 신용평가기관과는 별도로 건설사에 대해 조합 자체적으로 엄격한 신용등급을 재조정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조합의 한 관계자는 “최근 건설사업의 리스크가 커진 만큼 필요하다면 신용등급 재조정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건설사의 대주단 협약 가입 여부를 기준으로 신용등급을 재조정하지는 않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건설사 부도에 따른 조합의 공사대금 대지급 규모는 지난 2006년 362억원이었던 것이 지난해에는 502억원으로 늘었으며 올해는 11월 말 현재 972억원까지 치솟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