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분양

"둔촌주공 잡으면 月 2600만원 따박따박"…관리 경쟁도 불붙었다

주거용 부동산 관리시장 8조

고급화에 수수료 6년새 30%↑

'둔촌주공' 입찰에 3개사 응찰

月수익 2600만원…국내 최고

'한남더힐' 서울 평균의 10배

이권 싸움에 법정 다툼도 늘어

서울 강동구 올림픽파크 포레온(둔촌주공) 공사 현장. 뉴스1서울 강동구 올림픽파크 포레온(둔촌주공) 공사 현장. 뉴스1




약 8조 원 규모의 국내 주거관리 시장을 둘러싼 경쟁이 날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수영장·조식 서비스 등 아파트 고급화 바람이 불면서 타 지역 대비 높은 수준의 위탁관리수수료를 제시하는 단지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오는 11월 입주를 앞둔 서울 강동구 ‘올림픽파크포레온(옛 둔촌주공)’ 조합이 지난달 말 주택관리업체 선정 입찰을 마감한 결과 총 3개 업체가 응찰했다. 조합은 이중 적격심사를 통해 총 2개 업체를 선발한 뒤 다음 달 총회에서 최종 업체를 선정할 예정이다. 국내 주택관리업체들은 입찰 전부터 조합을 상대로 치열한 물밑 경쟁을 벌여왔다. 총 1만 2032가구 규모로 단일 단지 기준 국내에서 몸집이 가장 큰 만큼 상당한 수익을 얻을 수 있어서다. 조합은 주거 전용면적 ㎡당 약 20원의 위탁관리수수료를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지난 3월 기준 서울 평균(㎡당 11원)의 2배 수준이다. 월 예상 수익은 약 2600만 원대로 추정된다. 주거관리업계의 한 관계자는 “서울 1000가구 규모 단지의 월 위탁관리수수료 수준이 80만 원대인 것을 고려하면 국내 최고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시설 보수·경비·미화 등을 포함한 국내 주거용 부동산 관리업 시장규모는 2022년 기준 8조 원에 달한다. 이중 주택 위탁관리업체는 입주자대표회의(입대의)로부터 공용시설 관리를 위탁받아 업무를 진행한다. 현재 전국 1만 6131개 주택 단지 중 약 84%가 위탁관리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전국 주택관리업체 수는 지난해 말 기준 552개로, 이들이 받은 위탁관리수수료는 총 770억 원이다. 이는 2017년(600억 원)대비 약 29% 증가한 금액이다.

관련기사



위탁관리수수료 총액이 커지는 가장 큰 요인은 아파트의 고급화다. 서울을 중심으로 수영장과 조식 서비스 등 고급 공용 시설을 갖춘 단지가 늘어나면서 관리비 수준도 높아지는 추세다. 실제 서울 용산구 한남동 ‘한남더힐’의 위탁관리수수료는 ㎡당 116원으로 서울 평균의 10배에 달한다. 이밖에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25원)’, 잠원동 ‘아크로리버뷰(30원)’, 강남구 개포동 ‘개포자이프레지던스(40원)’ 등의 수수료도 높은 수준으로 책정됐다.

수주 이력이 곧 ‘명함’이 되는 만큼 주택관리업체들은 강남권 랜드마크 단지 깃발 꽂기 경쟁을 벌이고 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은 약 98만 가구를 위탁 관리하는 우리관리는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2차’와 개포동 ‘개포디에이치자이’ 등을 수주해 운영하고 있다. 고급화를 내건 타워피엠씨는 ‘래미안 원베일리’, AJ대원은 강남구 도곡동 ‘도곡 렉슬’ 등의 관리 업무를 수주했다.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잡음도 끊이지 않고 있다. 올림픽파크포레온의 한 조합원은 주택관리업체 선정 적격심사표가 특정 업체에게 유리하도록 만들어졌다며 입찰진행중지 가처분 신청을 제기했다. 법원은 현재 판결을 유보한 상태다. 주택관리업체 선정 이권을 둘러싸고 입대의와 주민이 법적 다툼을 벌이는 사례도 늘어나는 추세다. 주거관리업체의 한 관계자는 “고급화와 대형화 추세를 보이는 신규 아파트 단지에 대한 수수료가 높아지면서 관리 업체들 간의 경쟁도 격화하고 있다”며 “과열 경쟁으로 인한 시장 투명화를 위해 법적 장치도 함께 보완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신미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