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동십자각/1월 21일] '세종시 블랙홀' 탈출구 찾아야

세종시 수정논란이 향방을 예측할 수 없는 상황으로 빠져들고 있다. 세종시 수정론과 원안 고수론이 팽팽히 맞서면서 맹렬한 기세로 마주 달리는 기관차의 정면충돌을 예고했다. 정치인들은 정파별로 나뉘어 이 논란에 마치 자신들의 정치명운까지 건 모습이다. 이 과정에서 각자의 논리를 정당화하기 위해 인기 영합적 표현이나 상대방에게 욕설에 가까운 언사를 하며 벌이는 소모적 감정싸움이 그야말로 가관이다. 또 지역은 지역대로 갈라져 수도권과 충청권이 사생결단식 이해대립에 혈안이고 이 틈에 보수ㆍ진보진영 간 이념갈등이 자리를 비집고 들어올 태세이다. 국력을 모아 선진화ㆍ세계화에 매진해도 시원치 않을 판에 심각한 국론분열만 노출하는 셈이다. 특히 망국적 지역주의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오랫동안 우리 사회에 짙은 그림자를 남긴 지역주의는 김영삼(YS), 김대중(DJ)ㆍ김종필(JP) 등 '3김 정치' 시대가 막을 내리면서 점차 자취를 감췄다. 과거 '핫바지 논란'의 수모를 겪으면서도 충청권은 영호남 대립의 정치구도 속에서 고비마다 결정적 변수역할을 했다. 그런 충청권이 세종시 논란을 거치면서 다시 정치적 주목을 받게 돼 심상치 않다. 벌써부터 수도권과 충청권 표심을 각각 등에 업은 정치 세력들이 세종시 문제로 게임을 벌이는 양상이다. 오는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일고 있는 세종시 논란이 지역주의 부활의 전주곡이 될 수 있다는 뜻이다. 이에 따라 우리 모두가 이제 '세종시 블랙홀'에서 빠져나올 시점에 놓여 있다. 무엇보다 지금 우리 앞에 놓인 현실이 더 이상의 국력을 낭비할 만큼 그리 한가하지 않다. 세종시 문제에 대한 국민의 입장도 대체로 정리된 것 같다.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 발표와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및 야당의 비판ㆍ공세에도 불구하고 여론이 크게 바뀌지 않는 걸 보면 알 수 있다. 문제해결의 실마리는 정치권에서 찾을 필요가 있다. 각 정파가 머리를 맞대고 앉아 논란에 신속히 종지부를 찍어야 한다. 그게 국민이 기대하는 정치이자 국민이 바라는 지도자의 자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