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국민은행 '외환은행 인수' 지속 추진

"HSBC보다 시너지효과 클것"

국민은행이 미래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비(非)은행업과 해외시장 진출을 확대하겠다는 그림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외환은행 인수를 계속 추진하는 한편 증권사 신규 설립 추진 의지를 표시했다. 아울러 수익성이 정체된 은행업의 틀을 벗고 지주회사로 전환해 돌파구를 마련하겠다는 뜻도 내비쳤다. ◆ 외환은행 인수는 진행형=국민은행은 외환은행 인수로 얻게 되는 시너지(상승) 효과가 크다고 강조한다. 김기홍 수석부행장은 “비즈니스 포트폴리오 관점에서 (국민은행과 외환은행이) 가장 보완적인 관계”라며 “HSBC는 외환은행 인수로 국내 은행 라이선스를 얻는 데 그치지만 국민은행은 이보다 더 큰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김 부행장은 론스타와 HSBC의 계약으로 잃은 것보다 얻은 것이 더 많다고 평가했다. 국민은행이 얻어낸 협상조건이 좋았다는 것이 입증됐고 그 다음에는 상업적 판단에 따라 협상을 진행할 수 있게 됐다는 점 등을 꼽았다. ◆ 증권업 진출, 신규 설립으로 방향선회=국민은행은 증권사를 통해 다양한 시너지 효과를 얻겠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기존 증권사 인수에 주력해왔으나 신규 설립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감독당국이 증권사 신규 설립을 허용하기로 방침을 밝힌 만큼 ‘인수’와 ‘신규 설립’ 중에서 유리한 쪽을 택하겠다는 것이다. 인수를 추진 중인 한누리증권에 대한 압박인 셈이다. 김 부행장은 “정부가 증권사 신규 설립 허용 방침을 밝힌 만큼 적정가격 이상으로 증권사를 인수하지 않겠다”며 “(기존 증권사를 비싸게 인수하는 것은) 증권업계 구조조정이나 증권산업 발전에도 부합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한누리증권 인수는 프리미엄의 적절성에 대한 이견으로 일정이 지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SC제일은행이 한누리증권 인수전에 뛰어들면서 인수가격이 올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 미래성장동력은 비은행업과 해외에서=국민은행은 은행산업의 수익성이 정체될 것으로 보고 미래성장동력 찾기에 집중하고 있다. 김 부행장은 “최근 3년 동안 은행은 경영합리화 등을 통해 7조원을 벌었다”며 “앞으로 은행의 수익성은 적정 수준에 머물 것으로 보여 예대마진에서 벗어난 비은행업과 해외사업 등에서 미래성장동력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지주회사 전환도 곧 가시화될 전망이다. 김 부행장은 “7월 말 이사회에서 지주회사 전환의 장단점과 전환시기, 전환시 지배구조 등에 대해 검토해보자는 결정이 내려졌다”며 “현재 전략기획부 태스크포스(TF)팀에서 이를 준비 중이고, 준비가 끝나면 연내 본격적으로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래성장동력 확보 차원에서 지주회사를 설립하면서 증권사와 손보사를 인수하려는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