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글로벌 전자무역 확산' 포럼] "참여기업에 인센티브등 지원을"


"참여기업에 인센티브등 지원을" ['글로벌 전자무역 확산' 포럼] 김홍길 기자 what@sed.co.kr 무역협회가 주관하고 서울경제가 후원하는 전자무역포럼이 28일 COEX 그랜드볼룸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이 자리에 참석한 무역 관계자들이 열띤 토론을 벌이고 있다. 글로벌 무역시대를 맞아 전자무역시스템(e-Trade Platform)을 확산시키기 위해 참여기업들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등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또 한국이 세계 전자무역시스템 표준화를 주도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무역협회가 서울경제신문 후원으로 28일 서울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개최한 전자무역포럼 ‘글로벌 전자무역 확산 방안’에서 참석자들은 한국이 세계 처음으로 무역신용장을 도입하는 등 전자무역을 선도하고 있다면서 일반 기업들도 이를 널리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상진 건국대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전자무역의 글로벌화를 위해 새로운 전략의 개발과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며 “참여 기업에 대해서는 정부가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또 “이제는 국내 전자무역 인프라는 세계적인 수준이므로 글로벌화시킬 필요가 있다”며 “국가간의 법제도가 달라 쉬운 일은 아니지만 글로벌 표준화를 선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를 위해 “글로벌 전자무역은 협의체 중심이 아니라 실무 프로젝트 중심이 돼야 한다”며 “해외 기관과 유기적인 협력관계 설정 및 마케팅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용학 볼보건설기계코리아 부장은 “해외 업체와 거래시 전자무역에 관한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라며 “전자무역 활성화를 위해 업체에게 전자무역 서비스 사용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홍보방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자무역시스템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는 KTNET의 오기현 이사는 “업무적 관행 때문에 전통적 방식에서의 변화가 힘들어 초기 시범사업이나 홍보에 관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30억원 규모 정도로 지원규모를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김경종 산업자원부 무역정책과장은 “전자상거래 등과 같은 유사부문의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면 지원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정윤제 전자무역추진센터 국장도 “정기적인 전문가 간담회를 통해 우선적 과제를 지속적으로 도출하고 이에 따라 점진적으로 글로벌 전자무역을 촉진하는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강신원 외환은행 차장이 세계 최초로 개통한 전자신용장 현황에 설명하고, 전자무역서비스 2차년도 사업에 대해 사업자인 삼성SDS에서 설명했다. 또 안병수 서울디지털대 교수는 최근 개정현황과 전자무역 관련 법제도 강의하고 최근 구축된 전자무역 시뮬레이션 툴에 대한 시연도 진행됐다. 입력시간 : 2005/11/28 17:48

관련기사



김홍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